이에 따라 개인과 기업, 정부의 총저축률이 총투자율을 계속 밑돌아 외채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해 총저축률은 4년만에 처음으로 떨어져 4년전의 34.9%를 밑돈 것으로 추정된다.
총저축률은 지난 91년 36.1%에서 92년 34.9%로 떨어졌으나 △93년 35.2% △94년 35.4% △95년 36.2% 등으로 4년간은 조금씩 상승세였다. 총저축률의 내용을 보면 정부와 기업의 저축률은 높아지는 반면 개인저축률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저축률은 지난 90년 15.3%에서 91년 17.0%로 높아진 이후 △92년 15.8% △93년 14.4% △94년 13.9%로 계속 떨어지는 추세.
저축률과 역(逆)관계가 있는 민간소비증가율은 93년 5.7%에서 94년 7.6%, 95년 7.9%, 지난해 8.0% 안팎으로 상승하는 추세여서 95년과 지난해에도 개인저축률은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개인저축률은 떨어지는 반면 외제 고가품의 수입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작년 한햇동안 승용차 수입은 68.0% 증가했으며 의류와 화장품 수입은 41.3%와 50.0%씩 늘어났다.
한은 관계자는 『저축률이 낮아지면 투자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외자를 도입해야 하기 때문에 외채상환부담이 늘고 경상수지가 악화되는 부작용이 뒤따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총저축률은 90년대 들어 총투자율을 한번도 넘어서지 못했다. 총저축률은 지난 90년 총투자율을 1.2%포인트 밑돌았으며 △91년에는 3.0 △92년 1.9 △93년 0 △94년 0.8 △95년 1.3%포인트씩 밑돌았다.
국내 저축률은 절대치로는 선진국이나 경쟁국들에 비해서는 아직도 높은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나 내용을 따져보면 「속빈 강정」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저축추진중앙위원회 金義重(김의중)조사역은 『선진국은 개인이 복지분담금 등 강제저축 성격의 분담금을 훨씬 많이 부담하고 있다』면서 『이를 저축의 범주에 포함시킨다면 우리나라의 저축률은 선진국보다 낮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