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요금인상 및 운영개선방안을 놓고 서울시가 갈팡질팡해 시민들의 궁금증만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2일 서울세종문화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버스요금 검증결과에 대한 공개토론회」가 「반쪽 모임」으로 끝나 서울시의 처지는 더 어려워지게 됐다.
작년 10월 버스업체 비리사건이 터지자 서울시는 시관계자 시민단체대표 변호사 등 13명으로 버스요금검증위를 만들어 버스업체 운영을 집중조사토록 했다.
지난달 25일 서울시가 버스요금 인상계획을 밝히고 이어 26일 검증위가 『35원의 인상요인이 있다』고 뒤를 받치자 즉각 시민들의 반발이 나왔다. 특히 시민운동단체들이 연합한 버스개혁시민회의는 검증결과에 의혹을 제기하는 등 크게 반발했다. 이런 가운데 준비된 것이 2일의 공개토론회였다.
그러나 이 토론회에 버스개혁시민회의측이 불참, 버스요금검증위원들과 50여명의 방청객만이 자리를 채웠다.
시민회의측은 『검증위가 지난달 31일에야 자료를 공개하면서 이틀만에 토론에 참가하라는 것은 시간적으로 무리』라고 불참이유를 밝혔다.
요금인상을 둘러싼 서울시의 불분명한 자세는 시민들의 큰 불만을 사고 있다. 시는 요금검증위의 조사결과를 근거로 『8.65%의 적자요인이 있어 요금인상이 불가피하다』며 「5월중 30원 인상」안을 시내버스 노사협상 와중에 흘렸다. 그러나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자 『공식방침이 아니다. 시간을 두고 검토하겠다』고 이를 철회했다. 아직도 분명한 입장표시가 없다. 서울시는 버스공영제나 노선입찰제 등 버스개혁의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지만 우선 업체도 달래고 시민들도 설득해야 하는 요금문제부터 풀어야 할 처지이다.
〈윤양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