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돋보기 답사]난초그림 쌍벽 대원군-민영익

  • 입력 1997년 12월 24일 08시 07분


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난초그림(묵란·墨蘭)은 가짜가 많기로 유명하다. 「대원군 난초의 절반 이상은 가짜」라는 것이 정설. 대원군 난초는 그의 생전부터 가짜가 많았다. 당시 그의 난초를 원하는 사람이 늘어나자 대원군은 사랑방에 사람을 앉혀놓고 대신 그리게 한 다음 자신은 거기에 이름을 쓰고 도장만 찍었기 때문. 가짜가 많다는 것은 대원군의 난초가 그만큼 뛰어남을 뜻한다. 추사 김정희의 극찬이 이를 입증한다. 난초그림은 19세기에 성행했고 그중에도 대원군과 민영익(1860∼1914)이 쌍벽을 이뤘다. 이들의 난초는 회화사에 길이 남을 명작이지만 그 화풍은 사뭇 대조적이다. 대원군의 난초가 섬뜩할 정도로 예리하다면 민영익의 난초는 부드럽고 원만하다. 이 대조적인 화풍은 그들의 판이한 인생을 그대로 담고 있기에 더욱 흥미롭다. 대원군은 여백을 살리고 화면 한쪽에 한떨기 춘란(春蘭)을 즐겨 그렸다. 난은 섬세하고 동적이며 칼날처럼 예리하다. 특히 줄기가 가늘고 날카롭다. 뿌리에서 굵고 힘차게 시작하지만 갑자기 가늘어지고 끝부분에 이르면 길고 예리하게 쭉 뻗어나간다. 또 중간중간 각을 이루며 반전을 거듭한다. 반면 민영익의 난초는 여백이 없다. 줄기는 고르고 일정하며 끝은 뭉툭하다. 대원군이 붓끝으로 섬세하게 그렸다면 민영익은 붓 중간으로 굵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대원군 난은 휙휙 휘늘어지지만 민영익 난은 줄기가 뻣뻣하다. 이는 두 사람의 삶에서 비롯된다. 대원군의 힘차고 날카로운 화풍은 그의 파란만장한 인생역정과 밀접하다. 처절한 권력투쟁의 소용돌이에서 그의 야망과 숱한 좌절이 날카로움으로 표출된 것이 아닐까. 「해동거사(海東居士)」란 낙관이 있는 난초는 그가 실각한 이후 운현궁에 눌러앉았던 1881년 작품. 줄기 하나하나에 그의 울분이 살아 꿈틀거린다. 민영익은 다르다. 그는 왕실 외척으로 태어나 20대 초반 미국 유럽을 돌며 서양문물에 눈을 뜨고 요직을 두루 거쳤지만 야심보다는 다소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던 인물. 망명중인 김옥균을 암살하기 위해 일본에 자객을 보내고 중국에 유폐된 대원군의 귀국을 반대했던 점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1894년 중국으로 망명, 그곳의 문인화가들과 함께 사군자를 그리며 말년을 보냈다. 대원군과는 전혀 다른 그의 성향이 부드럽고 안정된 난초를 만들어낸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이원복 학예연구관은 『그의 중국생활은 국제조류에 뒤지지 않는 독특한 경지의 난초를 탄생시켰다』고 평가했다. 구한말 격변기, 두 사람의 삶의 방식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리겠지만 한국회화사에 난을 활짝 꽃피웠다는 점에는 이론이 없으리라. 〈이광표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