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탈리아 카루소 콩쿠르 심사위원장인 로베르토 네그리는 위와 같은 말과 함께 한국 일본인들의 콩쿠르 참가를 배제하겠다고 선언했다. 유럽인들의 텃세와 함께 나온 돌출발언이라 괘씸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한국 유학생들만 얼핏 관찰하고서도 우리 음악계의 속내를 잘도 읽어냈다 싶어 뜨끔하기까지 하다. 무엇이 문제인가.
음악가 지망생은 많은데 청중이 없다. 청중이 없다 보니 연주가들은 존립기반을 콘서트가 아니라 대학강단과 레슨에 의존해 왔다. 연주회는 돈을 들여 마련하는 경력 쌓기용 행사에 불과하고 먹고 사는 일은학생들에게의존해온 셈. 선배세대가 후배세대에 의존하는 ‘닫힌’ 예술경제가 형성된 것이다.
대학 전임강사로서의 발판을 마련하는, 나아가 레슨비의 판정기준이 되는 경력이 국내학력(학맥), 해외학력, 콩쿠르 입상경력이라는 세개의 축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은 음악계의 상식이다.
때문에 외국인에게 인해전술처럼 비춰지는 ‘콩쿠르 사냥’이 생겨나는 것은 당연한 일. 어떤 경우에는 콩쿠르 출연자의 70%가 한국인이라고 유학중인 한 성악도는 토로한다. ‘동양인 배제’선언이 처음도 아니다. 작년 파르마 콩쿠르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졌다.
최근 한 클라리네티스트는 대학 강의를 포기하고 ‘프로 연주가’가 되겠다고 선언했다. 너무도 당연한 결심이 ‘선언’이 되는 것부터 희한한 현실이지만, 모두가 그의 뒤를 따라가라고 요구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언제 우리 음악인들은 ‘레슨의 고리’ ‘학력 콩쿠르 거품의 고리’를 과감히 끊고 청중들 앞에 우뚝 설 수 있을까.
〈유윤종기자〉gustav@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