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영자총협회 고위관계자는 20일 “기업 구조조정은 한국기업의 경영개선을 위해 노동계가 먼저 요구했던 사안인데도 사기업과 달리 구조조정 실적이 부진한일부공공부문에서인력감축을 반대하는 것은 국민의 공감을 살 수 없는 이기적인 처사”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전경련의 관계자도 “나라전체가 경제회생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는 현실에서 파업을 선택한 것은 경제를 볼모로 집단이익을 꾀하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 구조조정 과정에서 동료를 잃은 기업의 일부 노조원들도 이번 파업사태를 바라보며 노동계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지난해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한 S건설의 최태원씨(32·서울 마포구 망원동)는 “많은 사람들이 실업과 임금삭감 등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공공부문 노조가 구조조정에 반대해 파업을 벌이고 있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김기식(金起式)정책실장은 “노동계는 우리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해 즉각 파업을 중단하고 대화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며 “하지만 정부와 서울시도 합리적인 타협점을 찾아나가기 위해 대화창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 관계자는 “공공연맹의 파업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했다.
〈박정훈기자〉hun34@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