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 어떡하죠?]김석산/한마디 칭찬이 매보다 낫다

  • 입력 1999년 10월 10일 21시 48분


부모는 자녀들이 잘 되라고 매를 들기도 하고 야단을 친다지만 자녀들은 그런 부모 마음을 충분히 이해하며 매를 맞는 걸까요. 처음에는 그런 마음으로 매를 들었다손 치더라도 감정해소의 방편으로 전락한 경험을 해보신 적은 없으신지요. 매를 드는 이유는 ‘자녀의 잘못을 바로잡고, 잘못을 뉘우치게 하기 위해’라고들 합니다. 매의 효과를 과신하는 부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매를 맞을 때는 그 순간이 무서워 움찔 뒤로 물러설 뿐 진정으로 잘못을 뉘우치는 경우는 드물고 부모 자녀 사이에 마음의 벽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자녀가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다가도 심하게 야단을 치면 반발심으로 비뚤어진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하물며 자신의 잘못을 미처 깨닫지 못한 상태에서 맞는 매는 성장기 자녀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입힙니다. 심한 체벌은 ‘나는 쓸모없는 인간이야’라는 생각을 불러일으켜 자아 존중감을 약화시키고 부모 자녀 관계의 신뢰성을 깨뜨립니다. 대화를 통해 문제해결을 하지 않고 체벌에 의존하다 보면 자녀가 자기주장을 못하는 수동적인 인간으로 자랄 수도 있습니다.

얼마전 실직 스트레스와 자녀양육 부담으로 고민하던 아버지가 평소 잘 울고 말을 듣지 않는다고 6세 아들을 때려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이 아동은 1주간 외상치료를 받고 외가로 퇴원했으나 과도한 정서불안 등 증상으로 모대학 병원 소아정신과의 치료 및 본 협회의 상담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상태가 좋아지긴 했으나 아버지가 찾아왔다가 돌아간 후면 불안해지고 공격적으로 변합니다. 이처럼 신체적 체벌은 성장기의 자녀에게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뿐 교육적 효과를 거두기 어렵습니다.

잘못을 저지른 자녀를 윽박지르기 전에 “이것은 어떻게 되었니?” “이것은 어떻게 하면 좋겠니?”라고 먼저 물어보십시오. 따지는 듯한 느낌이 강한 “왜”라는 질문 대신에 “어떻게”라고 물어 긍정적인 대화를 유도해 보십시오. 자녀가 자신의 잘못에 대한 대안을 생각해 볼 수 있고 부모 자녀간에 파인 오해의 골을 좁힐 수 있을 것입니다.

잘못한 것보다는 잘한 것을 먼저 칭찬해 보십시오. “신발을 참 가지런히 벗는구나. 방 청소도 더 깨끗이 하면 참 예쁠 텐데”라고 부정형이 아닌 긍정적인 칭찬을 해 보십시오.

잘한 일은 더 잘하려고 노력할 것이며 잘못했을 때라도 마음 속에 한번쯤 생각하며 행동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 저녁부터 사랑의 칭찬 한마디를 자녀에게 건네 보십시오. 한마디 칭찬이 10대의 매보다 훨씬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김석산(한국아동학대예방협회 회장)

★청소년 문제 전문가들이 체험을 바탕으로 쓰는 이 칼럼은 매주 월요일 게재됩니다. 10대 자녀 문제로 고민하는 부모는 청소년보호위원회 가정교육분과위(02―735―6250)로 연락하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