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출판통신/파리에서]조혜영/'육체에의 고별'

  • 입력 1999년 12월 24일 19시 45분


▼ '육체에의 고별' 다비드 드 브르통 지음/메텔이에 펴냄 ▼

인류사를 통해 20세기말처럼 인간이 ‘육체’에 지대한 관심을 보인 때는 없을 것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건강은 절대적 가치가 되었고 문학과 영화에서는 성(性)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넘쳐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사상계에서까지 육체는 정신에 예속되었다는 종래의 믿음을 뒤엎고 “육체가 사상과 철학의 바탕이며 원동력”이라고 외치는 육체 예찬론자들이 나왔다. 과학계는 완벽한 인공두뇌와 로봇의 발명을 외치며 귀찮고 불완전한 인간신체와의 종말을 고하고 있다.

지난 11월에 출판된 다비드 드 브르통의 ‘육체에의 고별’은 이같은 현대문명의 육체에 대한 태도에 경종을 울리는 작품이다. 스트라스부르대학의 인류학 교수인 저자는 서양문명에 있어서 육체의 위치와, 인간 그리고 세계와의 관계등을 연구해온 육체전문가. ‘육체와 사회’(1985)‘신체 인류학과 현대성’(1990) ‘신체 사회학’(1992) ‘고통의 인류학’(1995) 등의 저서를 갖고 있다.

그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육체의 문제를 서양문명의 근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검토한다. 그래서 서양사상을 지배해온 플라톤 철학과 기독교의 육체에 대한 관점은 육체를 늘 도전의 대상으로 다루었음을 밝힌다. 플라톤은 육체를 영혼이 갇힌 거추장스러운 물질로 된 감옥이며 악의 원천으로 보았다. 이후 기독교는 부활신앙에 의해 육체를 신성화했으나 플라톤 철학의 영향으로 영혼과 죄의 뿌리로서의 육체와의 투쟁을 계속했다.근세에는 절대적 진실의 지각력으로서의 정신에 대한 불신이 분별과 사고를 요구하는 이성의 지배력을 약화시켰고 즉각적이고 찰나적인 감각 감성 감정을 절대시하는 문화를 발전시켰다. 오늘날 전세계를 사로잡고 있는 영상문명이 바로 그것. 그리고 현대의 과학만능주의는 인간의 육체를 영혼과 분리된 단순한 질료로 취급 조작하기에 이르러 인간은 마침내 기계화되고 기계가 인간을 대체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인간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심각한 질문을 던지는 20세기말. 육체의 진정한 위상 회복으로 정신과 육체 그리고 이성과 감각이 조화된 인간을 되찾는 것이 현대문명의 시급한 과제임을 이 책은 알려준다.

조혜영 <프랑스국립종교연구대학원 박사과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