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백발을 보고 깜짝 놀란 李太白이 있었고 오동나무 잎새에서 들려오는 가을소리에 세월의 빠름을 한탄했던 朱子도 있지 않았겠는가.
曹操(조조)는 인생을 ‘朝露’(조로·아침이슬)에 비유했다. 과연 杜甫의 ‘古稀’에서 볼 때 나이 일흔 넘기기가 예로부터 쉽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 짧디짧은 인생을 알차게 보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李太白처럼 술로 한 평생을 보낸 자가 있는가 하면 陶淵明(도연명)처럼 田園(전원)에 묻혀 속세와 인연을 끊고 지내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어차피 한 세상 살아갈 바에야 열심히 사는 게 좋지 않을까. 세상 싫다고 다들 산으로 전원으로 들어간다면 이 사회, 이 나라는 어찌할 것인가. 설사 마음이야 떠날지라도 몸은 떠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그래서일까. 陶淵明은 이런 말도 남겼다.
盛年不重來(성년부중래)-청춘은 다시 오지 않고
一日難再晨(일일난재신)-새벽은 두 번이 없네.
及時當勉勵(급시당면려)-때 맞춰 열심히 해야 할 것을,
歲月不待人(세월부대인)-세월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으니….
어찌 보면 陶淵明을 포함한 우리 모두의 한계가 아닐까. ‘메뚜기도 한 철’ 이란 말이 있다. 모든 것이 때가 있듯 우리 인생에도 때가 있다.
嗚呼老矣(오호노의)-오! 늙었구나.
是誰之愆(시수지건)-이 누구의 탓이란 말인가? 한탄해 보아야 이미 때는 늦었다.
鄭錫元(한양대 안산캠퍼스 교수·중국문화) 478sw@mail.hanyang.ac.kr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