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새학기를 앞두고 학교에 가기를 꺼려하는 자녀 때문에 애를 태우는 학부모가 많다. 이같은 증상을 의학적으로는 ‘등교거부증’이라고 하는데 중학생은 1%, 초등학생은 3,4%나 이런 중상을 보인다는 게 의학계의 보고. 등교거부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초등학생은 대체로 학교에 간 사이 부모가 어딘가로 떠나거나 무슨 문제가 생길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혀 집을 떠나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 또 중고등학생은 우울증이나 학교에 대한 지나친 스트레스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학교폭력이나 시험부담 등이 등교거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등교거부증을 보이는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전문가들의 조언을 종합하면 ‘분리불안 장애’를 보이는 초등학생의 경우 가족치료나 놀이치료를 통해 자신이 부모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면 정신적 심리적 안정감을 되찾아 편안한 마음으로 등교할 수 있게 된다.
짜증이 부쩍 늘고 먹는 것조차 귀찮아하며 타인과의 접촉을 피하고 방에만 있으려고 하면 우울증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우울증을 방치하면 자살 등 극단적인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주의깊은 관찰과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 환청이나 환상을 경험하고 사람들과 접촉을 피하면서 집에만 있으려고 할 때는 정신분열증으로 인한 등교거부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다. 성균관대 의대 노경선(盧景宣·강북삼성병원 정신과)교수는 “등교거부증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치료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가족간의 신뢰와 사랑”이라고 말했다.
<정용관기자>yongar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