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새 주민등록증이 전면 사용됐지만 상당수 주민들의 무관심으로 동사무소마다 수백장의 주민등록증이 ‘미아(迷兒)’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
이에 따라 동사무소별로 해당 주민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거는 것은 물론 안내문 재발송, 홍보방송 등 갖가지 방법을 동원해 ‘주인 찾아주기’에 나서고 있지만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현재 서울지역의 경우 전체 미교부율은 12∼13%선으로 발급 대상자 800여만명 중 90만명 이상이 찾아가지 않은 셈. 이에 대해 관계자들은 운전면허증 여권 등 다양한 ‘대체신분증’으로 당장 큰 불편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한편 각 동사무소는 ‘애물단지’로 전락한 미교부 주민등록증의 처리 문제로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다. 현재 미교부 주민등록증은 각 동사무소의 철제금고에 보관 중이며 담당자 외에는 금고 열쇠를 소지하거나 금고 문 개폐를 금지시키는 등 보안에 만전을 기하고 있는 중. 동사무소의 한 담당자는 “출퇴근시 보관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물론 수시로 금고 상태를 점검하느라 노이로제에 걸릴 지경”이라고 털어놨다.
시 당국은 동사무소별로 ‘교부반’을 편성해 직원들이 직접 해당 가구를 방문, 새 주민등록증을 ‘기필코’ 전달토록 한다는 방침을 세운 상태. 그러나 대부분의 담당자들은 “교부과정에서 주민등록증을 분실할 경우의 책임 소재를 우려해 주민들의 자발적 교부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윤상호기자>ysh100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