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네리뷰]형식주의에 매몰된 '몸' 이야기<필로우 북>

  • 입력 2000년 11월 27일 17시 46분


인간의 '몸'은 다용도다. 누군가에겐 훌륭한 예술적 재료가, 누군가에겐 욕망의 배설구가 된다. 몸은 '살아 있다는 것'의 가장 즉물적인 '증명'이기도 하다.

영국 감독 피터 그리너웨이가 바라보는 '몸'은 이 모든 것이다. 그는 <필로우 북>에서 인간의 몸을 완전 해부한다. 몸 철학을 설파하기 위해 그가 차용한 소재는 10세기 일본 헤이안 시대 여류 작가 세이 쇼나간이 써내려 간 황실 기록 '필로우 북'이다. 총 13편의 시로 이루어진 일본 고전 '필로우 북'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 역시 13개의 단락으로 나뉘어져 있다.

전통 서예가의 딸로 태어난 나키코(비비안 우)는 매년 생일이 되면 이상한 의식을 치른다. 생일날 그녀의 몸은 아빠의 '종이'가 된다. 아빠는 붓을 들고 나키코의 몸에 자신의 이름과 딸의 이름을 새기며 이렇게 말한다.

▲ 관련기사

[씨네리뷰]<필로우 북>, 화가출신 감독의 탐미적 영상 돋보여

"신이 인간을 만들었을 때 처음엔 눈을 주고, 코를 주고...이름을 주었다. 그리고 신은 그 창조물이 마음에 들면 자신의 이름을 새겨 넣었다."

그녀는 자신의 몸이 종이가 되는 순간을 즐긴다. 피터 그리너웨이 감독이 가장 먼저 끄집어낸 몸의 용도는 '예술적 재료'인 셈이다.

"육체는 예술가들이 2000년 동안 사용해 온 중요한 예술적 재료이며, 영화는 사상이라는 옷을 입은 누드다"라는 그리너웨이 감독의 연출의도를 영화는 고스란히 반영한다. 예술적 재료를 자처하는 한 여자의 정신을 충실히 파고드는 것이다.

나키코는 자신의 몸에 글을 써주지 않는 남자와는 절대 사랑할 수 없는 인물. 그녀는 생일 의식을 치러주지 않는 남편을 과감히 버린 후 홍콩으로 떠나 톱 모델이 된다. 몸을 예술적 재료로 철저히 이용하고, 또 그것으로 부와 명예까지 거머쥐는 것이다.

감독은 몸을 '욕망의 배설구'로도 그려나간다. 나키코는 자신의 몸을 예술적 재료로 인정해주는 남자에게 욕망을 느낀다. 그녀의 몸에 글을 써주는 남자는 5개 국어에 능통한 번역가 제롬(이안 맥그리거). 그와 관계를 맺은 후, 그녀는 붓을 들고 그의 몸에 글을 쓰며 드디어 예술가가 될 꿈을 꾸기 시작한다. 성은 그녀에게 몸에 관한 또 다른 가치관을 가르쳐준 셈이다. 욕망의 배설이 상호보완적이듯, 그녀는 '자신의 몸' 뿐 아니라 '남의 몸'을 이용하는 방법도 차츰 깨달아간다.

그 다음, 감독이 전해주는 몸의 용도는 '존재의 증명'이다. 나키코의 숨은 욕망을 일깨워준 제롬은 어린 시절 나키코 아빠의 몸을 탐했던 남성 출판업자와 몸을 섞는다. 제롬은 다시 돌아와 그녀에게 사죄하지만 그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제롬의 사죄 방법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 목숨을 끊자 몸이 사라지고, 존재도 없어진다.

그러나 피터 그리너웨이 감독의 관심은 몸의 다양한 용도를 탐구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는 이 영화에서 '사상이라는 옷을 입은 영화'에 관한 탐구까지 겸한다.

"왜 스크린 속 화면은 하나일 수밖에 없는가, 왜 우리는 영화를 '보는 것'에 만족해야 하나"

<필로우 북>은 이 몇 가지 물음에 답하면서 새로운 형식 실험을 시도한다. 영화 속 화면은 2, 3개로 나뉘어지고, 영화를 보는 내내 주인공의 말은 글자로, 영상으로 함께 흘러나온다.

여태껏 보지 못한 이 과감한 형식 실험은 관객들을 끊임없이 불편하게 만든다. 형식주의에 함몰된 이야기는 너무 건조하거나 작위적이기 십상인데, 이 영화 역시 이런 우를 비껴가지는 못했다.

사상과 형식의 틀을 깨버린 <필로우 북>은 새롭지만 관객의 감성까지 어루만져주지는 못한다. 다만, 기모노를 걸친 이안 맥그리거의 신선한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만이 작은 위안으로 남을 뿐.

황희연 <동아닷컴 기자> benotb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