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장관 인터뷰]'새해 문화 정책'

  • 입력 2001년 1월 3일 18시 53분


◇"순수 문화예술 중심 창작환경 개선 주력"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라고 한다. 경제분야의 경쟁력도 문화가 주도하는 시대가 됐다는 것이다. 김한길 문화관광부장관을 만나 새해 문화계의 각종 현안에 대한 정책방향과 업무계획에 관해 들어봤다.

―올해는 어떤 일을 중점 추진할 계획인지.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지원하는 일에 최선을 다할 생각입니다. 지난해 정부예산 중 문화예산이 1%를 넘어선데 이어 올해에는 1조원을 확보했습니다. 이를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지요. 순수 문화 예술을 진흥시켜 나가되 문화인 개인에 대한 지원보다는 창작 환경 개선에 주로 투자해야 한다고 봅니다.”

―올해는 문화부가 정한 ‘지역문화의 해’입니다. 그러나 도시와 농촌 간의 문화향수 격차 가 심각한 수준입니다.

“그렇습니다. 도농간 문화향수권의 격차는 시급히 해소해야 할 과제입니다. 문화부 전체 예산 중 절반인 5000억원이 지방에 투입되는 예산입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 지역주민들의 애향심과 자긍심을 고취하고 지역문화의 창조력을 높여 나갈 계획입니다.”

―문예진흥기금 모금 조기 종결 결정, 도서정가제 등 경제논리에 따라 문화부와 경제부처가 충돌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습니다. 해결책은 있습니까.

“안타깝게도 경제논리에 문화논리가 압도당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화분야에까지 경제논리를 강요하면 문화 예술은 생존자체를 위협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대외적으로는 온국민이 일치단결해 ‘스크린쿼터제’ 유지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국내에서는 문화적 예외를 인정하지 않아서야 되겠습니까. 최근에는 정부 부처내 업무소관이 불문명한 분야들이 등장하면서 부처간 마찰이 있는 것처럼 비쳐지고 있습니다. 산업자원부와는 게임산업, 정보통신부와는 디지털 컨텐츠 보호문제 등을 둘러싸고 줄다리기 중입니다. 이런 분야는 담당부서를 이원화하면 더욱 일이 복잡하게 됩니다. 문화부가 기존 법체계 내에서 이를 소화할 수 있도록 법 개정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올 10월 위성방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방송환경이 급변하게 됩니다. 방송 주무부서로서 대책은 무엇입니까.

“위성방송시대가 열리면 채널 수가 200여개까지 늘어나게 됩니다. 이를 무엇으로 채울 것인지, 양질의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느냐가 최대의 과제입니다. 값싼 외국의 저질 프로나 지상파 3방송 프로를 재방송하는 식이라면 위성방송을 도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방송프로 독립제작사 육성과 방송인력 양성 등 종합적인 방송영상진흥대책을 수립 중입니다.”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간 문화교류가 활성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으나 그렇지 못했습니다. 남북 문화교류 확대 계획은.

“민족의 동질성과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문화 관광 체육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교류가 이뤄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교류의정서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북한도 이 분야에 관심을 보이기 있기 때문에 조만간 가시적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봅니다.”

지난달 31일 취임 100일을 맞은 김장관은 “문화계의 한켠에 몸담았던 경험으로 문화계의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다”면서 “재직 중 어떤 일을 해놓았다는 식의 개인적 공을 절대 탐하지 않고 국민 모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문화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김차수기자>kimc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