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장단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서울대의 위상과 이념을 고려하지 않고 ‘두뇌한국(BK) 21 사업’ 협약에 의해 학부정원을 25%나 무리하게 감축한 것은 구성원들의 정서에 반하는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 없이 모집단위 광역화를 요구해 기초 학문의 황폐화와 특정 학문 편중화를 부추겨 학문의 균형있는 발전을 해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학장단은 △입학전형제도 자율결정 허용 △전공별 소계열별 모집단위 인정 △학부 인원감축은 전공영역 재조정과 대학원 증원계획과 연계해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학장단은 올해 학생수가 626명이나 줄어들고 모집단위가 광역화돼 경우에 따라선 학과의 존폐가 위협을 받는 처지까지 내몰리자 성명을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교육부는 입시안이 BK21사업의 조건을 위반해 교육개혁 지원비 70억원 중 일부를 삭감할 것이라고 밝혀 서울대는 안팎에서 시달리고 있다.
서울대는 학부 모집단위를 7개 계열 10개 모집단위로 줄이겠다고 약속했으나 정작 7개 계열 16개 단위로 6개 모집단위가 초과, 약속을 지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법대와 의학계열(의예.치의예.수의예.약학) 등 5개 모집단위를 각각 사회계열과 자연계열에 포함시키지 못하고 별도 모집단위로 유지한 것은 법학 의학 전문대학원 출범이 2003년으로 늦춰진 사정은 인정하지만 경영대를 별도 모집단위로 둔 것은 명백한 위반사항이라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교육부는 “수시모집 비율을 30%로 늘리고 특히 일부 기초 학문 분야에서 신입생을 일정 비율 ‘전공예약제’로 선발하는 것은 모집단위 광역화에 어긋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