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과 위원장인 최영희 한림대 석좌교수(한국사)는 유보 이유에 대해 “문화유산은 한번 훼손되면 복구할 수 없는 것이기에 최대한 보존해 후손에 물려줄 책무가 있고 한편으로 사유재산권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경주경마장 부지 문제와 관련해 문화재위원회를 열어 정식으로 보존 여부를 논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이번 유보 결정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경마장 건설 부지는 이미 역사적 학술적으로 중요한 유적임이 밝혀져 보존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또 경마장부지는 개인이 아닌 마사회 소유이므로 경주 시민의 재산권을 직접적으로는 침해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
이날 회의에서 한국마사회 관계자는 “문화재 보존의 필요성이 있다면 경마장 건설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이라면 더 이상 판단을 미루지 말고 단안을 내려야한다는 것이 그동안 보존을 주장해온 학자들의 지적이다. 문화재위원인 김동현 동국대 교수(한국건축사)는 “경마장 부지를 보존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대세다. 결정은 뒤로 미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의 발굴 결과 경마장 부지는 보존 가치가 매우 높은 곳임이 드러났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등이 1996년 11월부터 경마장 건설 예정 전체 부지 가운데 5만3600평을 발굴 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최대 규모의 신라 토기가마터, 건물터, 각종 무덤, 토기와 토기 제작도구, 숯, 다양한 모양의 토우(土偶·흙인형) 등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유구 589기와 유물 2800여점이 출토됐다 .
경주 경마장 논란이 시작된 것은 1996년 경마장 건설 계획이 발표되면서. 그 후 5년 넘게 문화재 보존을 위해 경마장 건설을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과 세수확대 등 경주시의 경제적 수익 증대를 위해 경마장을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 왔다.
<이광표기자>kp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