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합격자도 신입생인데 장학금을 왜 못 준다는 거죠. 그런 규정이 있으면 미리 알려줘야 하는 것 아닙니까”라는 김씨의 항의에 대학측은 “원래 규정이 그렇다”고 맞서 입씨름이 벌어진 것.
최근 대학들의 추가 합격자 발표와 등록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학부모 및 수험생과 학교측 사이에 장학금을 둘러싼 ‘차별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많은 대학들이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수능 성적 상위 ○%’ 등을 기준으로 4년간 등록금 전액 면제와 학비 보조금 지급, 대학원 진학시 등록금 면제, 기숙사 우선 입사 등 다양한 혜택을 내걸었지만 대부분 추가 합격자에게 이 같은 혜택을 주고 있지 않다.
수능 성적 상위 2% 이내로 수도권 중위권 대학에 추가 합격한 이모군(18)은 “집 형편을 고려해 ‘다’‘라’군 대학에 장학금 혜택을 노리고 지원했는데 배신당한 기분”이라고 말했다. 이군이 지원한 학과는 20명을 뽑는데 1차 합격자 가운데 5명만 등록해 15명이 추가 합격했다.
이군은 “인터넷과 홍보 책자에 실린 입시요강에는 ‘추가 합격자는 장학 혜택이 없다’는 단서 조항이 없었다”면서 “미리 알았다면 지망학과를 바꿔 1차에 합격할 수 있는 학과에 지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중상위권 대학의 한 추가 합격자는 “합격했으니 꼭 등록하라고 부탁 전화까지 했으나 장학금 얘기를 꺼내니까 금방 태도가 달라지더라”고 말했다.
‘우수한 학생 확보’와 ‘재정 확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으려는 대학측으로서는 경쟁적으로 파격적인 혜택을 내세워 학생을 끌면서 최대 재원인 등록금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복수지원이 허용되기 때문에 먼저 지원한 학생에게만 장학금 혜택을 주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앞으로는 입시 요강에 미리 이 같은 점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전국 대부분 대학은 7, 8일 이틀간 추가 등록을 받은 뒤 9일 2차 추가 합격자를 발표하며 일부 대학은 이달말까지 최대 9차 추가 합격자 발표까지 계획하고 있다.
<김경달기자>da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