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및 이혼〓백서에 따르면 80년 1.5% 수준이던 ‘재혼 여성+초혼 남성’의 결혼 비율이 99년 3.3%로 2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재혼 남성+초혼 여성’은 4.8%에서 3.3%로 줄었다.
또 이혼율은 매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여 90년 1만3432건에서 99년 2만5917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97년 21.7%였던 이혼율이 98년과 99년에는 각각 29.6%와 30.4%로 크게 늘어 외환 위기로 인한 가정 경제의 파탄이 부부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이혼 사유도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고부 갈등’ 등은 점차 감소한 반면 ‘경제 문제’는 90년 2.3%에서 99년 7.7%로 크게 늘어났다. ▽문화 생활 및 남녀 평등 의식〓여가 활동에 들이는 시간도 남성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미혼 여성이 신문과 TV 등 대중매체를 보거나 다른 사람을 만나고 스포츠, 외국어 및 자격증 취득을 위해 쏟는 시간은 하루 평균 3시간47분으로 미혼 남성보다 4시간 가량 적었다. 그러나 영화 연극 등의 공연을 본 비율은 여성(63.7%)이 남성(60%)보다 높았다.
남녀의 정보 격차도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서울 여성의 정보화에 대한 인지도는 43.8%로 남성 66%에 비해 크게 낮았으며 컴퓨터 이용률(여성 43.3%, 남성 58%) 인터넷 이용률(여성 29.1%, 남성 46.7%) 부문에서도 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남녀 평등 의식과 관련해 지난해 서울 여성은 호주승계의 순서를 ‘아들 우선’(29.5%)보다 ‘아들 딸에 관계없이 연장자순’(63.8%)으로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에 반해 ‘시대가 바뀌어도 아들은 필요하다’(35%), ‘자녀는 아버지의 성을 따라야 한다’(45.4%)는 의견이 여전히 높아 아들 선호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풀이됐다.
▽노동 및 취업〓99년 서울 여성의 ‘임금노동시간’(미취업 여성을 포함한 전체 여성의 근로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46분으로 남성(4시간41분)보다 1시간55분 짧았으나 가사노동을 포함할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오히려 하루에 52분을 더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여성의 취업 비율(취업건수/신규구직자수)은 99년 남성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지난해에는 남성보다 10.6%포인트가 낮아 여성의 취업이 더 힘들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10대 여성의 취업 비율(36.3%)이 가장 높았으며 20대(32.3%) 30대 (9.7%) 40대(9.5%) 50대(5.3%) 등의 순이었다.
이번 백서는 5월 초부터 서울시의 ‘서울여성’ 홈페이지(http://women.metro.seoul.kr)를 통해 볼 수 있다.
<차지완기자>maruduk@donga.com
성별 직종별 취업자 분포(단위:천명, 괄호안은%) | ||||||||
계 | 입법 및 관리직 | 전문직 및 준전문직 | 사무직 | 서비스 근로 | 농어업 숙련 | 기능직 및 조립직 | 단순노무직 | |
서울여성 | 1845(100) | 8 (0.4) | 346 (18.8) | 323 (17.5) | 697 (37.8) | 4 (0.2) | 240 (13.0) | 226 (12.2) |
서울남성 | 2618(100) | 142 (5.4) | 29.4 (770) | 268 (10.2) | 496 (18.9) | 9 (0.3) | 720 (27.5) | 213 (8.1) |
서울 부부들의 형태별 혼인 현황(단위:%, 자료:통계청) | ||||
초혼(남) 초혼(여) | 재혼―초혼 | 재혼―초혼 | 재혼―초혼 | |
1980 | 90.1 | 4.8 | 1.5 | 3.6 |
1990 | 89.9 | 3.9 | 2.2 | 4.0 |
1989 | 87.3 | 3.2 | 3.2 | 6.3 |
1999 | 86.5 | 3.1 | 3.3 | 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