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3호·반년간)〓기획1 ‘사이버 세계의 미로’에는 구승회의 ‘가상 현실의 철학적 함의’, 정기도의 ‘디지털 사회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 류현주의 ‘전자책과 반(反)내러티브’, 이용욱의 ‘사이버리즘의 문학적 구현 양상’을 수록했고, 기획2 ‘서사물에서의 인물’에는 김재용의 ‘서사문학과 인물’, 김기주의 ‘삶, 그 흔들림의 형이상학’, 손영미의 ‘현대 서사물에서의 인물 양상’을 실었다. 1만2000원, 예림기획
▽철학비평(6호·계간)〓쟁점토론 ‘동성애, 어떻게 볼 것인가?’에서는 김진의 ‘동성애의 철학적 담론’, 문성학의 ‘진보, 인권 그리고 동성애’, 정명란의 ‘동성애! 인권을 넘는 성적 자율권으로’를 다뤘고, ‘김형효의 철학사상’을 ‘한국철학자 심층분석’으로 집중 조명했다. 이밖에 박영진의 ‘주희의 교육목적과 도덕적 뉴패러다임’, 이준호의 ‘자연과 인간’, 이진우의 ‘나눔의 철학’ 등을 수록했다. 8000원, 세종출판사
▽한국학보(103호·계간)〓김호의 ‘해방 이후 한국과학기술사 연구의 종합적 검토’, 송방송의 ‘근현대 음악사의 총체적 시각’, 박현수의 ‘이상 시학과 전원수첩의 수사학’, 박현모의 ‘정치가 정조(正祖)의 역사적 평가’, 최재석의 ‘21세기 한국고대사 연구의 기본문제’ 등을 수록했다. 8000원, 일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