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동네]“고은 극과극 기사가 극과극”

  • 입력 2001년 9월 20일 09시 48분


동아일보 9월18일자 A10면에 ‘문단의 고은 평가 극과극’이란 기사가 실렸습니다. 최근 출간된 한원균 교수의 ‘고은 시의 미학’(한길사)과 남진우씨의 ‘그리고 신은 시인을 창조했다’(문학동네)에 실린 시인 고은씨에 대한 엇갈린 시선을 정리했습니다.
▼관련기사▼
- 시인 고은 평가 '극과 극'
책 두 권을 200자 원고지 7장 분량으로 요약한다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요약 혹은 축약 과정에서 책이 가진 섬세한 결을 온전히 살리지 못할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초등학생부터 장년층까지 읽는 일간지 매체 속성상 기본적으로 선명한 기사를 요구합니다. 이 두가지 합쳐지면 흔히 말하는 ‘선정주의적 기사’가 되는 것이겠지요. 특히 문학 작품과 평론인 경우에는 세세히 언급할 수 없어서 희생되는 부분이 여타 문화 장르에 비해 많을 것입니다. 이런 저간의 사정이 문학 관련 기사중에 비판적인 지적이 적은 이유를 일부 설명해 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문인과 문학담당 기자간의 끈끈한 동지애(?)는 제외하고 말이죠) 앞서 말씀드린 기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두 논지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자수까지 균형을 맞추려고 신경을 쓰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200자 원고지로 3장 밖에 안되는 분량에 각 논자의 논지를 정밀하게 전달하기는 역부족일 수 밖에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한원균 교수님이 19일 이 기사의 획일적인 논지를 지적하는 메일을 보내주셨습니다. 한 교수님의 지적중 일부는 동의하기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자의 판단이 전적으로 옳다고만 볼 수는 없을 것입니다. 이런 취지에서 아래 메일 전문을 실었습니다. ‘글동네 이야기’ 게재를 허락해주신 한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한원균 교수(37)는 경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94년 당시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평론가로 등단했으며 ‘일굼의 문학’(청동거울·1998)을 냈습니다. 현재 국립청주과학대학 문예창작과 조교수로 재직중입니다.

한원균 교수
며칠 전 동아일보 문화면에 실린 저와 고은 선생에 관련된 글을 잘 읽었습니다. 우선 제책에 대하여, 그리고 한국문학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주신데 대하여 진심으로 고맙게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기사를 보면서 저는 매우 안타까운 심정이 들었습니다. 먼저, 윤기자님의 글에 의하면 저는 맹목적으로 고은 선생의 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와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제 책의 맨 뒤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의 몇 줄만 읽어보면 그렇게 보일겁니다. 저는 고은 선생을 ‘대가’라고 표현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만해와의 관련성은 문학사적인 연관관계를 찾아야하는 국문학 연구자로서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학문적 가치를 지닌다고 생각했으며, 실제로 계몽적 지식인의 위상을 생각할 때 그와같은 고려는 필요하다고 보았던 것입니다. 둘째, 최근에 있었던 고은 선생의 미당비판을 둘러싼 몇 몇 논의들을 보셨겠지만, 저도 그 논의에 참여할까도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는, 그 논의들은 모두 저널리즘의 ‘선정적’인 태도를 오히려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으며, 미당 선생의 문학세계에 대하여 논리적,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앞으로 기회가 주어진다면 저는 미당과 고은의 문제에 대하여 좀더 차분하게 접근해볼 생각입니다. 셋째, 기사의 제목인 ‘문단의 고은 평가 극과극’이라는 문구입니다. 저는 매우 놀랐습니다. 이것이야말로 고은에 대한, 미당에 대한 극과극의 평가를 유도하고 있구나 하는 생각 때문입니다. 어떻게 한 시인의 세계가 그렇게 칼로 무를 자르듯 단면적으로, 일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제 책에서도 분명히 언급했듯이, 고은의 시는 매우 문제가 많습니다. 가령 언어예술적인 측면에서 철저한 미학적 고려가 결여되어 있는 작품도 많습니다. 뿐만아니라, 작가 사이의 영향관계 연구라는 면에서 볼 때 남진우씨의 지적은 매우 타당한 면이 있습니다. 한 시인의 시세계는 그렇게 편싸움하듯이 일면적으로 이해되어서는 매우 곤란하다고 봅니다. ‘친 고은’ ‘반 고은’이라는 부제 역시 매우 위험하고 선정적인 제목이라고 우려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넷째, 제 책에 60년대 미당과의 관련성이 없다고 하셨는데, 그건 너무도 당연합니다. 왜냐하면 저의 주제는 고은의 시를 통시적 관점에서 ‘변화 속의 지속성’, ‘지속성 속의 변화’를 읽어내는데 있지, 영향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지 않았거든요. 그것은 논문의 방법론 설정이라는 부분을 생각하신다면 자연스럽게 이해되실 겁니다. 따라서 남진우씨는 그걸 지적했는데, 저는 그 지적을 하지 않았다는 수평적인 비교는 성립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지요. 이 글을 보내는데는 망설임이 많았습니다. 다른 지면을 이용하는 방법도 생각해보았지만 더 이상 흥미 위주의 가십거리로써가 아니라 진정으로 한국문학의 발전을 위한 생산적인 토론을 위해서, 더욱 자세하고 진지한 논의는 제 스스로 더 공부하고 연구해서, 다음기회로 미루기로 하였습니다. 다시 한번 깊은 관심에 대하여 고마운 말씀 전합니다. 길고 지루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윤정훈 기자>diga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