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시대의 연구윤리’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이 한국생명윤리학회와 토지문화관 공동 주최로 20, 21일 강원 원주시 토지문화관에서 열린다. 과학기술이 이윤 창출의 핵심요소가 된 현대 사회에서 과학자의 책임과 자유의 한계를 짚는 행사다.
기조발제를 맡은 김환석 국민대 교수(과학사회학·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소장)는 발표문을 통해 과학이 시장원리에 지배당하게 된 데 따른 문제점들을 지적했다.
첫째는 비밀주의의 팽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과학연구가 ‘기업 비밀’이라는 이유로 비밀리에 진행되기 때문에 그 영향을 입는 시민들은 결과가 발표된 뒤에야 개입할 수 있다는 것. 복제양 돌리도 특허 등록 이후에 관련 정보가 공개됐다.
김 교수는 ‘연구와 응용은 별개’라는 논리로 연구가 기획되고 투자가 결정되는 단계에서 시민들의 개입이 차단된다면 사회적 토론은 ‘사후약방문’ 수준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대학이나 공공 연구기관이 기업에 종속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 연구비를 대는 기업이 연구과정을 통제하는 권리를 일부 갖게 되면서 기업에 직접 이익이 되지 않는 아이디어는 연구사업으로 책정조차 되기 힘들다는게 김 교수의 지적이다. 당장 돈이 되지 않는 사업은 뒷전으로 밀리기 때문.
대학 연구진이 기업을 위한 두뇌탱크로 변모하면서 다원적 아이디어, 비판적 사고 등 대학의 공익적 기능은 약화되는 부작용이 빚어지고 있다.
김 교수는 과학자들이 변화된 시대상황에 걸맞는 윤리관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과학이 시장체제에 편입된 사실을 직시하고 과학의 불확실성, 오류가능성도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체르노빌 원전사고부터 최근의 광우병까지 과학은 스스로가 야기한 문제에 대해서조차 제대로 답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김 교수는 이런 상황에서 과학자는 ‘전문가’라는 이유로 독점적 지위를 누리며 일반인들과의 대화 자체를 거부했던 이전까지의 태도를 버리고 시민 등 과학적 현안의 당사자들과 ‘열린 대화’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의 033-762-1382
<정은령기자>ry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