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정개발硏 ‘복지관 운영개선’ 보고서]

  • 입력 2001년 10월 18일 18시 54분


서울 시내 사회복지관의 책임자 가운데 36%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조차 없는 ’복지 비전문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담 등 전문 복지사업을 줄이고 기능 취미교실 등 사회교육 프로램을 늘리면서 사회복지관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김경혜 선임연구위원은 18일 시의회에서 열린 ‘사회복지관 운영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문성 부족〓지난해 12월 서울 시내 84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35.7%에 해당하는 30개 사회복지관 관장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갖고 있지 않았다. 특히 총직원수 대비 전문가 수가 80% 이상이어서 전문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는 복지관은 전체의 22.6%에 불과했으며 전문가 비율이 60% 이하인 곳은 17.9%였다.

김 위원은 “관장의 역량에 따라 복지관 운영에 큰 차이가 있어 관장의 사회복지 분야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운영을 위탁받은 법인이 자격증이 없는 사람을 관장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한 현행 규정은 악용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은 사회복지관 관장의 자격조건을 정하고 있으나 전문자격증이 없어도 법인이 ‘사회복지사에 상응하는 수준’이 있다고 판단하면 관장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잡화점식 운영〓사회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도 문제였다. 시정개발연구원이 24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상담 등 전문 복지서비스는 전체 서비스 가운데 11.4%인 반면 취미 기능교실 등 사회교육 프로그램은 35.2%에 달했다.

복지관 전문인력 한명당 이용자 수
구분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장애인복지관
위탁운영법인직영위탁운영법인직영위탁운영법인직영
전문인력 한명당
이용자수
1만2726명1만112명9541명 없음3050명979명

김위원은 “최근 구민회관 구민체육센터 문화관 등에서도 유사한 프로그램을 경쟁적으로 제공하면서 사회복지관의 기능적 차별성이 퇴색하고 이들 시설간 ‘중복투자’ 현상도 점차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생활보호대상자 및 저소득층에게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사회복지관 설치 운영 규정’에도 불구하고 저소득층의 이용률이 감소 추세에 있어 당초 설립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등 정체성이 모호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불균형〓토론자로 나선 서울시의회 보건사회위 강영원(姜榮元·마포1) 의원은 “종로구 중구 구로구 등 10여개 자치구에는 사회복지관이 1, 2개인 반면 송파 노원 강서 등은 7∼10개에 이르는 등 지역적 불균형도 점차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 강남구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김현숙 관장은 “자치구 단위로 종합 지역복지계획을 세워 복지시설간의 중복투자를 막아야 한다”며 “복지관들이 일률적인 사업 방식을 버리고 가족복지 등 전문분야로 특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차지완기자>marudu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