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현 관아가 현재 양천향교의 서남쪽 가양1동 239 일대인 성산 남쪽 기슭 한강가에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본래 서해 바다는 조석간만(潮汐干滿·밀물과 썰물)의 차가 뚜렷한 지역인데 그 중에서도 한강물이 바다로 물머리를 들이미는 강화만 일대는 그 격차가 가장 큰 곳이다. 그래서 밀물때가 되면 조수가 한강으로 역류해 들어와서 강물의 흐름을 막는다.
자연히 강물과 바닷물이 서로 밀리지 않으려 힘겨루기를 하게 되고 이 때 나는 물싸움 소리가 마치 거대한 소나무 숲속에서 이는 솔바람 소리와 흡사하다 한다.
쏴아! 쏴아! 울려퍼지는 이런 물들의 함성을 종해헌에 앉아 듣고 있다는 것이 이 그림의 제목이다.
실제로 이 그림에서 겸재라고 생각되는 벼슬아치 하나가 종해헌 2층 누마루 난간에 기대앉아 있다. 이때 한강에서는 밀물이 강물을 제압하며 사나운 기세로 역류해가고 있는 듯하다. 돛단배들이 모두 조수를 타고 강을 거슬러 오르는 듯 돛폭이 바닷바람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바닷물에 되밀려 오르는 강물의 함성이 얼마나 우렁차게 울려퍼지고 있었겠는가.
|
이 그림은 관아 뒷산인 성산에서 내려다본 시각으로 그려낸 것이다. 동헌인 종해헌을 중심에 놓고 부속 관사와 부근 일대의 민가까지 그려서 당시 양천읍의 전모를 화폭 한 쪽에 담고 있다.
조수가 밀려드는 드넓은 한강을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해 난지도를 비롯한 모래섬들을 강 건너에 수없이 그려놓고 돛단배도 아래위로 여러 척 띄워놓았다. 그리고 강 상류에는 동쪽에 남산을, 서쪽에 관악산을 먼 산으로 그려놓고 있다.
남산 아래로 겹겹이 이어지는 낮은 산 언덕들은 노고산, 와우산, 만리재 등일 것이고 관악산 아래의 낮은 산은 동작동 국립묘지가 들어서 있는 동작봉이리라. 허가바위가 있는 탑산을 가까이 끌어내 앞산을 삼았는데 돛단배 몇 척이 허가바위 절벽 아래를 스쳐 지나도록 아련하게 표현했다. 종해헌 앞의 강물 위를 지나는 두 척의 배와는 크기가 한 눈에 비교될 만큼 차이난다.
강바람을 막기 위해 한강변으로 키 큰 나무들이 줄지어 심어져 있고, 종해헌 뒤편 산 언덕에는 늙고 큰 고목나무가 우람하게 솟아 있어 관아의 역사를 말해준다.
종해헌이란 이름은 ‘모든 강물이 바다를 종주(宗主·우두머리)로 삼아 흘러든다’는 ‘서전(書傳)’ 우공(禹貢)편의 글귀에서 따온 것이다. 한강이 모든 강물을 대표하고 한강물은 양천 앞에서 바닷물과 부딪치므로 이 곳이 바로 종해(宗海·우두머리 바다)라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이는 조선이 곧 중화문화의 주체라는 조선 중화주의에 입각한 자부심에서 고유색 짙은 진경문화를 창달해 갈 때 우리가 세계의 중심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표방한 이름이다.
‘종해헌’이란 현판 글씨를 만교 김경문(晩橋 金敬文·1602∼1685)이 숙종 5년(1679)에 써 걸었다 하니 아마 그 이름도 이때 처음 지어졌을 것이다.
이 시기는 진경문화가 막 태동하던 때였다. 김경문은 중종(1506∼1544) 이후 이 지역에 명문으로 뿌리내린 원주(原州) 김씨 문중이 배출한 명필로 이 글씨를 쓸 때 나이가 78세였다고 한다.
지금은 행주 하류에 수중보를 막아서 물길을 고의로 차단했기 때문에 조수 밀리는 소리가 예전같지 않다고 한다. 군사목적으로 건설했다는 이 인공보가 언제 철거되어 ‘종해청조’의 옛 풍류를 되찾을 수 있을지! 그 날을 손꼽아 기다려본다.
영조 16년(1740) 비단에 채색한 23.0×29.2㎝ 크기로 간송미술관 소장품.
최완수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