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다란 골목길도 소중한 자산▼
서울을 찾는 외국 건축가들이 감동하는 것은 잘 정비된 고궁이나 재개발된 지역의 정돈된 모습이 아니라 서울의 일상이라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남대문시장의 어지러운 광경이나 동대문시장의 밤 풍경, 달동네의 부서진 모습, 아귀다툼하듯 서 있는 길거리의 전광판들, 산비탈의 집들, 그리고 아직도 남아 있는 북촌의 골목길들이 이들에게는 매력적인 장소이며 감동적인 건축인 것이다. 과거 유산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그들의 도시에서는 보기 어려운 다이내믹한 활기가, 우리가 도시의 치부(恥部)라고 여기는 구석진 부분에서 실감되는 까닭이다.
그럴 것이다. 나 자신도 그네들의 도시에 가서 영웅적 기념물이나 잘 가꾼 궁전들에서가 아니라 뒷골목의 흐트러진 풍경이나 오래된 민가의 삶의 모습에서 귀한 건축의 지혜를 발견하곤 했고, 그 도시의 인상을 오랫동안 가질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도시의 인상은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일상적인 것들을 규율적이지 않고 다듬어지지 않은 도시 풍경으로 생각해 언젠가는 재개발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다. 아직도 우리에게 남아있는 개발독재시대의 잔재에 따르면, 우리의 도시적 목표는 반듯한 거리와 잘 정비된 가로 풍경이며 가지런한 아파트 덩이와 상투적 조경에 대한 성취이다. 그래서 신도시들은 거의 똑같은 풍경을 하고 있으며, 오랜 역사를 가진 옛 도시들마저 이런 구태의연한 교과서에 맞추어 재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다행스럽게 서울의 강북은 오랫동안 이런 개발의 광풍에서 벗어난 까닭에 아직까지 우리 고유의 도시풍경을 간직한 곳이 많다. 강남보다는 산길도 많고 물길도 많으며 반듯한 길이 드물어 아기자기한 골목길 풍경을 만든다. 게다가 필지의 규모들도 대부분 작아서 그 위의 작은 집들이 모여 만드는 집합의 풍경이 손에 잡힐 듯 친근하다. 그래서 나는 강북에 일터를 잡은 지 사반세기가 넘는 지금에도 떠나질 못하고 있다.
그런데 요즘 괜히 불안하기 짝이 없다. 새 시장이 부임한 이후 강북에다 봇물 터지듯 개발, 재개발의 단어를 쏟아내며 다시 개발의 광풍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계천을 복원하고 낙후된 지역을 정비하는 것은 옳다. 그러나 목표가 과거의 낭만적 풍경의 부활이나 상투적 신도시의 재생이라면 그 개발은 옳지 않다. 더구나 개발이익을 따져 우리의 삶터를 부동산가치로 환산해 주민을 설득하는 천민자본주의적 개발은 죄악에 가깝다. 돈에 눈이 멀어 우리가 잃어버려야 하는 기억의 양이 너무도 많기 때문이다.
▼찍어낸듯한 신도시 이제 그만▼
비록 누추했더라도 그곳에 수십년간 있었던 삶은 가치 있는 것이며, 그 또한 기억되어야 할 귀중한 역사인 것이다. 무엇보다도 과연 그런 외형적 개발과 우리의 행복이 어떤 연관이 있는지 먼저 논의하는 것이 옳다. 어쩌면, 우리가 어떻게 사는 것이 행복한가를 몇 년간 지속적으로 토론하고 시민적 담론을 쌓는 것 만으로도 우리의 문화적 수치는 한층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더욱 성숙한 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우리는 지난 날 새로운 역사 창출 운운하며 우리가 소중히 가꾸어왔던 삶터를 순식간에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한 반문화적 사례를 무수히 경험해 왔다. 그것은 ‘메시아 콤플렉스’에서 비롯된 반(反)역사였다. 이제는 떨쳐버릴 때가 되지 않았는가.
승효상 건축가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