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자비]<10>중노릇, 남는 장사여선 안돼

  • 입력 2003년 3월 21일 19시 22분


산중의 어른 한 분이 입적하셨다. 한평생 가야산을 떠나지 않고 정진해 오신 노(老)수행자의 다비식(茶毘式)을 치르면서 새삼 육신의 덧없음을 실감했다. 세상에 덧없는 것이 육신 하나뿐일까마는 우리 삶에서 가까운 친지의 죽음은 가장 실감나는 무상(無常) 법문이다.

불가에서 스님들의 죽음을 일러 입적(入寂) 또는 열반(涅槃)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육신의 소멸이 곧 해탈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모든 번뇌의 불을 끄고 적멸(寂滅)한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가는 의식이 바로 임종의 순간이다. 불교의 세계관에서는 죽음은 두려워할 대상도, 슬퍼할 일도 아닌 것이다.

중국 선사들의 행장을 기록한 전등록(傳燈錄)을 보면 여러 선사들의 입적 과정을 자세하게 밝히고 있는데 죽음을 자유자재로 맞이한 걸출한 선사들의 이야기가 실감나게 그려져 있다.

등은봉(鄧隱峰) 선사는 운동선수처럼 물구나무를 서서 입적했고 광오(廣悟) 선사는 미리 부도를 만들어 놓고 입적하였다고 한다.

보화(普化) 선사는 입적을 드라마틱하게 연출한 스님으로 전해진다. 어느 날 대중에게 옷 한 벌 주문하고 스스로 관(棺)을 메고 덩실덩실 춤을 추었단다. 이 생에서 공부를 다 마치고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간다는 기쁨에서 춤을 추었을까. 아무튼 이러한 죽음은 육신을 통해 해탈의 자유가 무엇인가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법지(法地) 선사는 제자들에게 ‘내가 죽거든 시체를 소나무 밑에 드러내 놓아 새와 짐승들의 먹이가 되도록 하라’고 부탁한 뒤 앉아서 입적했는데 조촐한 장례식마저 거부하고 화장도 허락하지 않았던 법지 선사의 행동은 정말 우리들에게 잔인할 정도의 전율을 느끼게 하는 가르침을 준다.

알고 보면 이 육신은 소멸해 없어질 헌옷 같은 존재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선사들의 임종게(臨終偈) 속에는 인간으로서의 회한이나 절망은 없고 해탈의 자유와 자신의 참모습을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에 입적하신 노스님의 마지막 유훈은 평범하지만 그 가르침은 크다.

“중 노릇은 남는 장사를 해서는 안 된다. 퍼주어서 모자라고 손해보는 장사를 해야 성공한 중 노릇이다.”

현진스님 해인사포교국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