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낙동강과 하회 마을, 병산서원과 도산서원, 제비원 미륵과 천등산 봉정사, 그리고 하회탈과 별신굿 등…. 수많은 유 무형의 유산을 보유한 안동 시는 지자체 가운데 자연 상태 그대로 보존된 문화재를 가장 많이 보유(지정 문화재만 266점)해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리는 문화의 보고다. 그 안동에서도 낙동강이 S자로 휘도는 물돌이동인 하회 마을과 주변 강변 및 안동 시내에서 매년 9월 마지막 주 금요일에 개막, 열흘간 열리는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은 안동의 진면목을 볼 수 있는 국제적인 축제다. 올해가 7회째.
안동 사람들은 안동을 ‘가장 한국적인 곳’이라고 강조한다. 99년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짧은 체류 기간 중 하회 마을을 찾은 것이 그것을 말해준다. 그래서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도 탈춤은 물론 한국의 전통과 민속, 음식과 문화를 두루 즐길 수 있는 전시관 개념으로 기획하고 운영한다. 해외 6개국 9개 단체 등 국내외 30개 단체가 참가하는 탈춤 공연과 더불어 안동 민속 축제와 하회 마을 전통 축제, 대동 놀이 한마당, 안동 지역 특산품 교역전, 안동 음식 문화 축제를 동시에 열고 풍기 인삼 축제(10월1∼5일)와 봉화 송이 축제(25∼28일)를 페스티벌과 연계한 것도 그런 뜻에서다.
●축제 행사
행사장은 안동역 부근의 낙동강 변 축제장(주 공연장과 예술무대, 인형극장)과 하회 마을, 안동시청 앞 세 곳. 매일 오전 10시∼오후 10시에 진행된다. 축제장에 마련한 놀이마당은 26일∼10월5일 운영.
◇탈춤 공연(주 공연장) △해외=화려한 전통 의상이 특징인 독일 탈, 핀란드의 현대판 고전 탈춤, 징과 북 소리에 맞춰 불교의 신화적 내용을 표현하는 몽골의 참을 비롯해 케냐와 필리핀 태국 일본 등 6개국 9개 단체가 공연한다. △국내=하회별신굿 탈놀이와 은율 봉산 강령 탈춤, 동래와 수영 야류, 송파 산대놀이, 양주 별산대 놀이, 통영 김해 진주 가산의 오광대, 예천 청단 놀음, 동해안 탈굿, 퇴계원 산대놀이, 예천 청단 놀음 등. △탈춤 축제인 한마당=참가한 모든 공연단이 함께 펼치는 교류 마당. 일본과 중국 탈춤의 합동 공연 등.
◇이벤트 △안동 민속 축제(놀이마당)=차전놀이, 내방가사 경창, 짚 꼬기, 유등제, 윷놀이 등. △하회마을 행사=선유 줄불 놀이(27일, 10월 4일 오후 7∼10시) 및 탈춤 공연(매일 3회 이상) △찾아가는 페스티벌(안동 시내)=구시장 음식 문화 거리, 문화의 거리, 신시장 및 병원과 군부대, 자활 센터 방문 공연. △조선 통신사 재현=10월 3일 안동관아 터와 축제장 등.
◇기타 △전시=국보 하회탈(안동대 박물관), 중국탈(하회탈 박물관), 찾아가는 박물관(안동 민속박물관), 창작탈(예총 안동지부) 등. △한국 인형극제(인형극장)=한국 일본 중국 11개 팀이 매일 3회 공연.
◇입장권=하회마을 내 탈춤 공연장 입장용. △보통권(공연 1회) 3000원(학생 경로 2000원) △전용권(전 공연) 1만2000원(〃8000원).
◇열차 패키지 △소백산 온천&하회마을(1박2일)=주 4회(월 수 금 토)운행, 왕복 새마을호. 청량리역(09:00)∼풍기역(12:09)∼버스 투어(부석사 소수서원 죽령 옛길 소백산 풍기온천)∼숙박(소백산 관광호텔)∼버스 투어(부용대 하회마을 풍산한지공장 풍기인삼시장)∼풍기역(15:20)∼청량리역(18:36). 14만원(금 토는 5000원 추가). 홍익여행사 02-717-1002 △탈춤 페스티벌 열차(당일)=10월 3∼5일(3회) 운행. 청량리역(08:10)∼풍기역(11:40)∼축제장∼하회마을∼풍기역(17:50)∼청량리역(21:27). 3만7300원. 홍익여행사 02-717-1002
◇축제 정보 구하기=△홈페이지 www.maskdance.com △안동시(문화체육관광과) 054-851-6393 △추진위 사무국 054-851-6398
●인근 지역 축제
◇제7회 봉화 송이 축제(www.bonghwa.go.kr)=25∼28일 봉화읍 내성천 변 체육공원. 송이 먹을거리 장터와 송이 판매 골목에서 자연산 송이를 맛보고 살 수 있다. 전통 음식 및 혼례 등 민속을 재현하는 청량 문화제도 동시 개최. 문의 054-673-5800
◇풍기인삼축제(www.punggisarang.com)=10월1∼5일 경북 영주시 풍기읍 남원천 변. 인삼액, 한방 인삼김치, 인삼 막걸리 시식 코너 및 인삼 요리 전시 상설. 인삼 캐기 체험(2,3,5일 오전 10시∼오후 5시). 풍기 온천도 있다. 054-639-6391, 635-0020
![]() |
●찾아 가기
‘서울∼영동고속도로∼만종분기점∼중앙고속도로∼제천∼단양∼죽령터널’까지는 공통. ◇풍기=죽령터널∼풍기IC∼931번 지방도∼풍기읍(축제장) ◇안동=풍기∼영주∼서안동IC∼34번국도∼안동역(축제장) ◇봉화=풍기∼영주IC∼28번국도∼봉화읍(축제장)
●축제 참가 패키지 상품
열차로 귀경하는 승우여행사(www.swtour.co.kr)의 당일 패키지(4만8000원)는 ‘영주 부석사∼하회 마을∼하회 별신굿 탈놀이 공연 관람∼풍기 역(18:05 출발)∼청량리역(21:37 도착)’ 코스. 출발(5회)은 27, 28일과 10월 3, 4, 5일. 02-720-8311
조성하기자 summe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