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이 IPI 지적에 직접 해명해야”=이협(李協·민주당) 의원은 “IPI의 결의문을 보면 대부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언론관과 관련된 것이므로 노 대통령이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며 “비판한다고 대통령이 (언론을) 더 때리고 죽이려고 하면 수백만 명으로부터 인심을 잃을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또 “대통령이 언론을 상대로 소송하는 것이 언론 자유를 지키려는 입장에서 보면 명백한 언론 탄압이기 때문에 IPI가 우리나라를 언론탄압국으로 3년 연속 지정한 것”이라며 “IPI가 ‘편파적 인식을 갖고 있다’고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아무런 득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정병국(鄭柄國·한나라당) 의원은 “정부가 IPI의 언론탄압국 지정을 ‘국가 망신’이라고 해놓고도 이를 시정하기 위한 대책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며 “2000년 우리나라와 같이 언론탄압국으로 지정됐던 스리랑카는 적극 대처해 올해 언론탄압국에서 제외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기남(辛基南·통합신당) 의원은 “지금 우리나라가 IPI 언론탄압국으로 지정되는 게 도대체 말이 되느냐”며 “조선일보의 기자가 IPI 한국위원회에 적극 개입했다는 후문도 있다”고 반박했다.
▽“이병완 수석 발언에 대해 정부 사과해야”=이윤성(李允盛·한나라당) 의원 등은 “이 수석이 개인적으로 취재를 거부할 수 있다고 한 것은 공인으로서 명백히 언론 탄압을 한 것”이라며 “조영동(趙永東) 국정홍보처장은 정부 대변인으로서 입장을 밝히라”고 압박했다.
정진석(鄭鎭碩·자민련) 의원은 “이 수석의 발언을 놓고 정부가 연일 질타를 당하고 있는 이유는 청와대가 ‘잘못한 것 없다’ ‘언론 탓이다’고 치부해서 그런 것”이라며 “결국 노 대통령이 덕을 쌓지 못하고 언론과의 적대적인 구도를 만들어왔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조 처장은 “이 수석의 발언이 언론 자유 침해라는 큰 범위의 이야기로 보기에는 좀 그렇다”며 “국감에서 나온 지적을 청와대에 전달하겠다”고 답했다.
▽“국정홍보처가 신문시장 교란하고 있다”=정병국 의원은 “국정홍보처가 일방적으로 대통령을 홍보하기 위해 1일 인터넷 신문인 ‘국정브리핑’을 만든 뒤 디지털카메라와 홈시어터 등을 경품으로 내놓으며 홍보를 하고 있다”며 “이러면서 어떻게 메이저 신문들을 ‘자전거 일보’라고 비난하고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할 수 있느냐”고 질타했다.
한편 김일윤(金一潤·한나라당) 의원은 “7월 10일 일본의 ‘문예춘추’가 발행하는 ‘주간문춘’에 북한 전문가인 니시오카 스토무(西岡力)가 지난 2월말 금강산에 ‘마침내 청와대에 우리 동지가 거점을 확보했다’는 현수막이 걸려 있는 것을 보았다는 글을 썼다는 데 현지답사 등 사실관계를 확인했느냐”고 추궁했다.
이에 조 처장은 “제대로 보고받지 않아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승헌기자 dd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