黑과 白의 시대, 실천적 진실은 무엇인가

  • 입력 2004년 2월 12일 19시 34분


코멘트
회색은 기회주의자의 빛깔인가, 아니면 진리의 빛깔인가.

한국 사회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는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기 위해 ‘회색적 상상력’을 당당하게 표방한 지식인들의 발언이 책으로 묶여 나왔다. 계간 ‘당대비평’이 ‘당비생각’이라는 제목의 단행본 시리즈 첫 권으로 내놓은 ‘우리 안의 이분법’은 보수와 진보, 친미와 반미 등으로 진영이 나뉘어 상대를 사갈시하는 상황을 비판한 9명의 학자, 전문가들의 글모음이다.

서론격의 첫 장을 쓴 윤평중 교수(한신대·철학)는 정치의 본질을 ‘적과 동지의 이분법’으로 규정했던 나치 어용학자 칼 슈미트 사상의 악마적 광휘가 ‘참여의 봄의 한국’을 뒤덮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대북인식에 관해 “서로를 수구냉전집단과 민족배반자라고 도식화시켜 딱지 붙이고 자신들만이 객관적 진리를 독점한 듯 강변한다”고 비판한다.

‘우리사회의 이분법’이 주목한 주제는 △친미와 반미 △친일과 반일 △체제수호적 통일과 반체제적 통일 △공익과 사익의 충돌 △중앙과 지방의 갈등 △성(性) 대결의 신화 등이다. 각 주제의 필자들은 편을 갈라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입장을 버리고, ‘흑과 백 양 극단 사이에 있는 실천적 진실’을 드러내는 데 주력했다.

친미-반미 문제를 다룬 권용립 교수(경성대·국제정치학)는 먼저 친미가 정치적 현실이라면 반미는 역사적 인식임에도 같은 차원에서 다뤄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한국사에서 외교적 ‘친(親)’과 ‘반(反)’은 친명-반청, 친청-반일, 친일-반청, 친미-반공 등 항상 복수의 외세를 향해 동시에 존재했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미국이라는 하나의 외세만을 두고 친과 반을 논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것.

친일-반일 문제를 다룬 윤해동 연구원(역사문제연구소)은 친일파 청산을 과거청산과 결부시키는 믿음은 정치를 도덕, 윤리와 결부시키는 위험성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다. 부패한 정치보다 도덕적으로 정향된 정치가 더 위험할 수 있으며 정치와 도덕의 영역은 분리돼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

윤평중, 권용립, 윤해동 3인의 논의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이성적 사유를 흑백 이분법의 그물 안에 포획하는 ‘우리 안의 괴물’이 민족주의에서 배태됐음을 지적한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촛불시위와 ‘붉은 악마’ 현상 뒤에 숨어있는 한국 민족주의의 팽배가 ‘자기 충족적 폐쇄회로’에 빠져있다고 지적하면서 민족담론의 지나친 감수성과 일방주의를 고발한다.

권 교수는 “개항 후 100여년간 외세를 ‘우리 안의 바깥’으로 두면서 생성된 외세 콤플렉스가 자존이 힘든 현실에 대한 자각과 맞물려 우리의 과거를 보상해 줄 역사적 피고로서 ‘바깥’을 지목하는 집단 습성을 키워냈다”고 비판한다.

윤 연구원은 “친일파 청산이 ‘민족’이라는 모호한 대상에 대한 귀속의식과 충성서약을 강요한다는 점을 인정할 수 있다면 친일파 청산은 이제 그만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밖에도 김창엽 교수(서울대 보건대학원)는 의약분쟁처럼 공익과 사익이 맞부딪칠 때 우리의 의식을 지배하는 ‘국가에 대한 불신’에, 박홍규 교수(영남대·법학)는 ‘서울과 지방’이라는 표현 자체에 숨은 서울중심주의에, 황정미 교수(한림대·사회학)는 성 대결의 이분법적 사고에 숨은 여성의 피해의식과 남성의 과민반응에 각각 천착했다.

권재현기자 conf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