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권력’ 멀티플렉스 이대로 좋은가]<2·끝>게임룰 만들자

  • 입력 2004년 3월 11일 19시 18분


지난해 12월 영화 ‘낭만자객’ 상영을 둘러싸고 빚어진 해프닝은 충무로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메가박스와 롯데시네마가 프린트 수의 제한과 마케팅에서의 차별 대우를 이유로 CJ엔터테인먼트가 배급하는 ‘낭만자객’의 상영을 거부하겠다는 공문을 보낸 것. 결국 세 회사 책임자들이 모여 논의 끝에 두 멀티플렉스에서도 영화를 상영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영화계에서는 이 일을 전형적인 ‘고래싸움’으로 보고 있다. CJ CGV(2600만 명) 메가박스(1420만 명) 롯데시네마(1300만 명) 등 지난해 5320만 명의 관객을 기록한 3대 멀티플렉스는 중소 영화배급업자→작은 극장→메이저 배급업자→멀티플렉스로 이어지는 영화계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다.

전문가들은 사실상 영화의 선택권은 관객이 아니라 이들 멀티플렉스에 있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이들 업체의 스크린 점유율은 23.7%였지만 관객 점유율은 48.3%에 이르렀다. 이들 업체가 올해 160개의 스크린을 늘릴 경우 세 멀티플렉스의 관객 점유율은 50%를 훌쩍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과연 관객에게 영화의 선택권을 돌려줄 방법은 없는 것일까.

시장논리를 중시하는 미국에서도 월트 디즈니의 배급사인 브에나비스타, 소니, 워너 브러더스 등 메이저 배급사들의 경쟁이 특정영화의 스크린 독점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 시장점유율 1위인 브에나비스타의 스크린 점유율은 16.7%였고 나머지 배급사는 10% 안팎을 오르내리는 수준이었다. 국내에서는 CJ엔터테인먼트와 플레너스㈜시네마서비스, 두 배급사가 지난해 40.5%의 스크린 점유율을 기록했다. 덩치 큰 배급사들이 흥행작을 앞세운 ‘끼워 팔기’ 등으로 경쟁의 긍정적인 ‘미덕’은 사라지고 말았다.

프랑스의 사례는 눈여겨 볼만하다. 이 나라 멀티플렉스에서는 한 영화를 두 스크린에서 상영하지 않는 것이 관행이다. 강제조항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멀티플렉스가 이를 지킨다.

배재대 공연영상학부 김형주 교수는 “프랑스에서는 멀티플렉스를 찾은 관객이 보고 싶은 영화를 못 보는 것은 거의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며 “이는 영화의 다양성을 지키려는 프랑스 정부의 노력과 관객들의 힘에 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관객에게 영화의 선택권을 돌려주기 위해 멀티플렉스에서 특정영화의 집중적인 상영을 제한하는 ‘1 필름-3 스크린제’ 또는 ‘30% 상한선’(한 영화를 전체 스크린 수의 30% 범위 내에서 상영)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 같은 규정이 영화진흥법에 반영되도록 입법운동을 벌이겠다”고 말했다.

영화잡지 ‘씨네21’ 편집장인 김소희씨(영화평론가)도 “스크린쿼터의 변형된 형태로 멀티플렉스 체인관의 일정비율을 대안영화에 할애하는 규정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문화산업적 측면에만 집중됐던 정부의 영화정책 방향전환도 논의되고 있다. 동덕여대 방송연예과 김준덕 교수는 “이제까지 정부의 정책이 영화산업의 파이를 키우는 것이었다면 앞으로는 다양성의 확보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갑식기자 dunanworld@donga.com

200년 미국과 한국의 상위 배급사와 시장 점유율(단위 %)
순위미국한국
1브에나 비스타 16.7%CJ엔터테인먼트 21.9%
2소니 픽처스 13.2%플레너스(주)시네마서비스 18.6%
3워너 브라더스 12.7%청어람 7.5%
4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11.8%코리아 픽쳐스 4.9%
5뉴라인 시네마 10.1%쇼박스 4.8%
*한국 순위에서 외국직배사는 제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