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들은 인류가 걸어 온 역사의 교훈과 삶의 지혜를 담은 전통 고전부터 현대사회를 냉철하게 통찰하며 살아가는 데 지혜를 주는 책까지 다양한 도서들을 뽑았다.
국제정치 분과장인 하영선 서울대 교수(57)는 “나의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됐던 책들이 여전히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선정했다”고 말했다.
*‘新아크로폴리스’ 관련 기사 및 공개강좌 내용은 ‘동아닷컴(www.donga.com)’의 ‘新아크로폴리스’ 코너에서 볼 수 있습니다. 공개강좌에 대한 상세한 문의는 안민정책포럼(www.thinknet.or.kr)으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02-743-1786∼8김형찬기자 khc@donga.com
기획위원장 박세일 교수(서울대·법경제학) | ||
책이름 | 저자 | 내용 |
대학 | 증자(曾子) | 인성교육의 목표와 방법을 밝힌 동양의 고전 |
자유론 | J S 밀 | 자유에 관한 사상과 논점을 집대성 |
법 입법 그리고 자유 | F 하이에크 | 자유주의 시장경제론자의 자유주의 사회론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막스 베버 | 자본주의의 발생과 프로테스탄티즘의 관계 |
성학집요(聖學輯要) | 이이(李珥) | 유교사상의 핵심을 정리해 왕에게 올린 책 |
철학 분과장 손동헌 교수(성균관대·철학) | ||
일차원적 인간 | H 마르쿠제 | 고도 산업사회에서 인간성 해방의 길 |
역사란 무엇인가 | E H 카아 |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인간의 본질에 관한 일곱 가지 이론 | L 스티븐슨 | 인간의 본질에 대한 주요 철학자들의 입장 |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 박이문 | 생태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류문명의 미래 |
지상으로 내려온 철학 | 이진우 | 불확실성의 시대를 이끌어 갈 철학적 사유 |
한국현대사 분과 박태균 교수(서울대·한국사)/font> | ||
다시 찾는 우리 역사 | 한영우 | 민족주의적 시각에서 재구성한 한국사 |
근현대 한국 탐사 | 권태억 외 | 자료 중심으로 쓴 한국 근현대사 |
고쳐 쓴 한국현대사 | 강만길 | ‘통일’이라는 관점에서 풀어 쓴 한국현대사 |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 한국역사연구회 엮음 | 쉽게 풀어 쓴 근현대 한국인의 삶 |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 | 브루스 커밍스 | 한국현대사에 대한 외국인의 시각 |
법 정치 분과장 안경환 교수(서울대법대 학장) | 민주주의와 그 비판자들 | 로버트 달 | 민주주의의 역사, 한계, 그리고 가능성 |
정의와 다원적 평등 | 마이클 왈쩌 | 다원주의적 상황에서의 정의, 평등, 공동체 |
자유주의에 관한 짧은 에세이들 | 김만권 | 현대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흐름 |
감시와 처벌 | 미셸 푸코 | 이성과 합리성을 표방한 사회적 억압 |
국가·정체(政體) | 플라톤 | 플라톤의 이상국가론을 보여주는 대표작 |
경제 분과장 장오현 교수(동국대·경제학) | ||
격몽요결 | 이이 | 젊은 선비들을 위해 저술된 삶의 지침서 |
도덕감정론 | 애덤 스미스 | 시장을 건강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도덕 |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 있는 아이디어 | 토드 부크홀츠 | 애덤 스미스 이후 300년의 경제학 |
자유주의 | 루드비히 폰 미제스 | 자유주의를 위한 정책과 자유주의의 미래 |
자본주의와 자유 | 밀턴 프리드먼 | 자본주의에서의 경제적 자유와 정치적 자유 |
제사회 분과장 송호근 교수(서울대·사회학) | ||
열하일기 | 박지원 | 조선후기 지식인이 자유롭게 쓴 중국기행록 |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 홍대용 | 조선후기 지식인의 중국문물 견문록 |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이덕일 | 조선 중기 지배층의 의식과 사상 |
토지 | 박경리 | 한 집안의 가족사를 통해 본 한국근현대사 |
윤치호 일기 | 윤치호 | 20세기 초의 현실에 대한 개화지식인의 인식 |
국제 분과장 하영선 교수(서울대·국제정치학) | ||
인간 불평등 기원론 | 장 자크 루소 | 평등하던 인간이 언제부터 불평등해졌는가 |
도덕경(노자) | 노자 | 자연과의 공존을 지향한 도가사상의 대표작 |
서유견문 | 유길준 | 19세기말 서양을 돌아본 조선 지식인의 제언 |
백범일지 | 김구 | 조국과 민족을 위해 바친 삶의 기록 |
한국민족주의 | 이용희 | 한국의 세계사적 위상과 한국이 나아갈 길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