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부터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承政院)의 주서(注書·서기)도 사관에 포함됐고, 그들이 임금 옆에서 매일 기록한 ‘당후일기(堂後日記)’도 사초로 활용됐다. 특히 이것은 ‘승정원일기’ 편찬의 주된 자료가 됐다.
경북 안동 하회마을의 풍산 유씨 집안인 화경당(和敬堂·일명 北村宅)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고문서 자료 가운데는 당후일기 한 묶음이 포함돼 있다. 정조 때 주서로 재직했던 유이좌(柳台佐·1763∼1837)가 1799년 5월17일(음력)의 정사를 기록한 당후일기 원본이다.
표지에는 날짜, 날씨, 왕의 거처가 적혀 있다. 비가 내린 이날 왕은 창덕궁(昌德宮)에 있었다. 내지에는 왕이 승지들에게 지시한 사항을 별도의 용지에 적었고, 이어 각 승지들이 왕에게 보고한 내용을 기록했다. 왕의 처분이 있으면 보고서 공백에 받아 적었다.
일부 수령이 각종 핑계로 부임을 늦추고 있어 이조에서 이들을 모두 교체할 것을 건의하자, 왕은 “민생이 시급한 실정에 자리를 비울 수는 없으니 병든 성천부사는 교체하되 나머지 수령들은 자리를 서로 바꾸는 방안을 찾아 구두로 전달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이조가 구두로 성천부사 대상자와 수령들의 상호 교체안을 도승지를 통해 보고했고 왕이 낙점해 시행했다. 이 내용은 ‘승정원일기’에도 그대로 수록됐다.
실록의 사초는 편찬 후 한강 물에 씻어(洗草·세초) 없애버리지만 당후일기는 정사의 참고를 위해 보관할 수 있었다. 그래서 현재는 당후일기만 전할 뿐이다.
설석규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원·한국사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