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명 서울여대 사학과 교수는 최근 펴낸 저서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연구’(국학자료원)에서 1만4620명의 문과 급제자 중 거주지가 확인된 인원 1만2792명의 거주지를 분석한 결과 5502명(43.1%)이 서울 거주자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1789년 정조시대 조사에 따르면 서울 인구(18만9153명)는 전국 인구(740만3606명)의 2.55%에 불과했다. 결국 전체 인구의 3%가 안 되는 서울에서 문과 급제자의 43%를 차지한 셈이다.
이 교수는 송준호 전북대 명예교수와 에드워드 와그너 전 하버드대 교수(2001년 작고)가 2002년 공동 발간한 ‘보주 문과 방목 CD롬’을 바탕으로 문과 급제자들의 본관(성관)과 거주지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과거 급제자들의 성관 편중 현상도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수록된 전체 성관 4477개 중에서 문과 급제자를 1명 이상 낸 성관은 664개(14.8%)였고, 10명 이상을 낸 성관은 199개(4.4%)였다. 특히 10명 이상 문과 급제자를 낸 ‘주요 성관’ 출신이 전체 급제자의 90.86%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국 전체 성관의 5% 미만에서 90% 이상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한 셈이다.
이 교수는 특히 전체 급제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99개 ‘주요 성관’ 출신 급제자의 거주지를 집중분석했다. 그 결과 서울, 정주, 안동, 충주, 상주, 청주 등 17개 지역 거주자가 전체의 65.11%를 차지할 정도로 지역편중 현상이 심각했음이 드러났다. 조선시대 전국 군현은 330곳으로 이중 문과 급제자를 1명이라도 낸 곳은 절반가량인 162곳이다. 주요 성관출신 문과 합격자의 거주지를 도별로 나눠보면 서울(45.9%)이 단연 많았고 경상(13.2%) 충청(10.4%) 경기(8.7%) 평안(8.35%) 전라(7.8%) 강원(2.43%) 함경(1.84%) 황해(1.28%) 순이었다.
이 교수는 또한 세기별로 성관별, 지역별 문과 급제자의 순위 변동도 추적했다. 그 결과 문과 급제자의 성관 중 10대 성관 출신의 급제자 수가 후대로 갈수록 더 늘어나고, 거주지별로 봤을 때는 서울 거주자의 급제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이 드러났다.
이 교수는 “귀족사회였던 고려시대에는 거주지가 큰 의미가 없었으나 관직사회인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서울 중심의 집중화현상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성관`의 세기별 급제순위 | ||||||||||
순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5세기 | 안동 권 | 광산 김 | 문화 유 | 진주 강 | 밀양 박 | 창령 성 | 전의 이 | 여흥 민 | 광주 이 | 경주 이 |
16세기 전반 | 광산 김 | 안동 권 | 광주 이 | 전주 이 | 안동 김 | 진주 강 | 경주 김 | 파평 윤 | 여흥 민 | 전의 이 |
16세기 후반 | 전주 이 | 안동 권 | 파평 윤 | 남양 홍 | 청주 한 | 진주 강 | 안동 김 | 광산 김 | 여흥 민 | 동래 정 |
17세기 전반 | 전주 이 | 청주 한 | 남양 홍 | 안동 권 | 안동 김 | 파평 윤 | 밀양 박 | 전의 이 | 연안 이 | 광산 김 |
17세기 후반 | 전주 이 | 안동 권 | 파평 윤 | 밀양 박 | 연안 이 | 광산 김 | 청주 한 | 여흥 민 | 반남 박 | 청송 심전의 이 |
18세기 전반 | 전주 이 | 파평 윤 | 남양 홍 | 안동 권 | 반남 박 | 청주 한 | 밀양 박 | 한산 이 | 광산 김 | 안동 김 |
18세기 후반 | 전주 이 | 남양 홍 | 연안 이 | 청주 한 | 안동 김 | 파평 윤 | 밀양 박 | 안동 권 | 청송 심 | 풍양 조 |
19세기 전반 | 전주 이 | 안동 김 | 남양 홍 | 안동 권 | 청주 한 | 풍양 조 | 반남 박 | 연안 김 | 대구 서 | 파평 윤 |
19세기 후반 | 전주 이 | 안동 김 | 파평 윤 | 여흥 민 | 남양 홍 | 여안 이 | 풍양 조 | 광산 김 | 반남 박 | 청주 한 |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