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화 두소리]‘역도산’을 보고

  • 입력 2004년 12월 22일 16시 28분


사진제공 싸이더스
사진제공 싸이더스
《‘역도산(力道山)’. 제작비 110억 원, 한국 관객이 일본어로 연기하는 한국배우를 한글자막으로 이해해야 하는 본격적인 한일 공동 제작영화, 주연배우 설경구의 광기 들린 변신…. 제작과정부터 한국영화사(史)에 이정표가 될 만한 기록들을 남긴 ‘역도산’은 과연 세계시장을 겨냥한 성공적인 한국형 블록버스터인가, 아니면 작가주의 영화와 블록버스터라는 두 갈래 길 사이에서 좌표를 잃은 표류작인가.

‘한 영화 두 소리’의 부부 영화평론가 남완석 교수(전주 우석대)와 심영섭 씨가 각각 낙관과 비관의 입장에 서서 팽팽한 격론을 벌였다.》

∇남완석 교수=흔히 영웅적인 인물을 영화로 다룰 때는 인물의 위엄에 눌려 더 신화에 빠져버리지. ‘역도산’을 보니까 반일감정, 민족주의에 편승하거나 역사적 해석만 나열하지 않으면서도 인물을 객관적으로 그려 낸 전기영화로 완성돼 호감이 갔어.

∇심영섭 씨=역시 관람에 성차가 존재하나 봐. 나는 ‘역도산’을 보며 송해성 감독의 전작인 ‘파이란’을 떠올렸는데? 감독의 손에서 역도산은 영웅이 아니라 실패한 남자로 재창조됐어. 나는 이 영화가 실존 인물에 대한 전기가 아니라 남성멜로라고 생각해.

∇남=영화 속에서 역도산은 성공해서 “맘껏 웃으며 살겠다”고 말해. 그는 자신의 비천한 운명, 조국, 심지어 자신이 이룬 성공으로부터도 끊임없이 ‘도망’하면서 다음 목표로 달려가지. 그에게 사각의 링은 도망갈 곳이 없는 막다른 감옥이었어. 결국은 그 꿈 때문에 아내마저 잃지. 그런 역도산이 어떻게 ‘파이란’의 실패한 조직폭력배 강재와 닮았다는 거지?

∇심=역도산이 자기가 땄던 트로피를 모두 쓸어버리는 장면 기억나? 자기 자신의 과거에 대한 부정이야말로 극단적인 허무야. 송 감독의 영화에서 폭력은 박찬욱 감독이나 김기덕 감독의 폭력과는 완전히 달라. 그것은 지독히 정서적인 폭력이야. 슬픔과 분노가 함께하는 폭력이지. ‘파이란’과 역도산의 슬픔은 일맥상통해. 난 그 점에서 이 영화가 “한국영화 사상 가장 비싸게 만들어진 속편”이라고 봐.

○ 작가주의적 해석과 블록버스터 사이

∇심=그런데 난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게 제작사인 ‘싸이더스’ 차승재 대표의 판단이야. 송 감독은 정적이고 미시적인 스토리에서 힘을 발휘하는 감독인데, 붓으로 치자면 세필(細筆)이지. 그런데 ‘역도산’은 제작비 규모에서나 작품 성격에서 큰 붓을 휘둘러야했던 작품이거든. 그런 점에서 송 감독에게 메가폰을 맡긴 제작자의 판단에 의문을 갖게 돼.

∇남=‘역도산’은 실제로 영화에 그려진 것보다 훨씬 성공적이었던 인물이었어. 역도산의 한 해 소득이 소니사(社)의 매출보다 더 많았던 때도 있었으니까. 블록버스터를 지향했다면 이런 사실들은 결코 설명을 포기할 부분이 아니었다고 생각해. 인물에 대한 작가주의적인 해석과 막대한 제작비가 들어간 블록버스터라는 양 극단의 어딘가에서 균형을 잡았으면 좋았는데, 그런 게 부족하긴 했지.

▽심=혹 감독이나 제작자 모두 세상을 살며 헤쳐가야 하는 남자의 슬픔이나 꿈을 ‘역도산’ 속에서 본 것은 아니었을까? 분명 영화 속에서 자기모순적인 인물로 역도산의 성격을 그리고 있는데도 말이지. 일왕과 왕세자 앞에서 레슬링 시범경기를 보여주는 장면에서 역도산이 자기 성정을 못 이기고 링 위에 뛰어올라가 오버하는 대목이 참 좋던데, 감독은 그걸 더 끌고 가지 않더라고.

▽남=할리우드에 비해 한국영화에서 잘 안 되는 대표적 장르가 스포츠영화야. 난 그렇게 위험부담이 큰 장르를 선택했다는 점 때문에라도 이 영화를 인정해줘야 한다고 생각해.

▽심=스포츠라기보다 이 영화는 그야말로 ‘파워’의 문제를 다루려 하지. 그런데 그 파워가 어떻게 한 사내를 파멸시키는지, 역도산이 어떤 사회적인 틈바구니 속에서 존재했는지, 한국인인 그가 일본 사회와 어떤 방식으로 맺어졌는지 입체적으로 그려지질 않아. 오로지 역도산에만 카메라를 클로즈업하다보니 중요한 링에서의 경기 장면조차 인물의 내면이 드러나는 게 아니라 “과하다, 더 잘라냈어야 했다” 싶어.

▽남=역도산에 카메라를 들이댄 건 어쩔 수 없는 선택 아닐까. 아무리 설경구가 몸을 만들었다고 해도 풀 샷이 아니었다면 상대역의 진짜 선수들 틈바구니에서 역도산의 거대한 힘이 느껴졌을까. 그런데 역도산 역을 설경구가 아니었다면 누가 맡을 수 있었을 거라고 생각해? 설경구가 가진 카리스마가 역도산과 잘 들어맞는 것 같아.

○ 한류 이어갈 본격적인 시도

∇심=설경구는 내면에 광기가 있는 배우야. 굉장한 집중력을 가진 사람이지. 그런데 설경구를 보면서 감탄하고 압도돼도 관객이 감정이입을 하고 자기와 동일시할 수 있는 배우는 아니야.

▽남=어떻게 보면 설경구라는 배우의 연기 폭이 좁은 거지. 하지만 설경구가 대한민국의 배우들, 아니 국제적으로도 다른 배우들에게 모델이 될 만한 배우라고 생각해. 배역을 맡으면 철저히 그 인물이 된다는 점에서 그 유명한 로버트 드니로에 비견될 만하지.

▽심=난 역도산의 후견인인 칸노 회장 역의 후지 다쓰야의 연기가 좋았어. 거물이면서도 인간적이고 그러면서도 범접을 허용하지 않는…. 칸노의 역할 소화가 빼어났기 때문에 칸노와 역도산의 관계에서 오히려 역도산의 내면이 드러났던 것 같아. 그에 비해 아내인 아야(나카타니 미키)와의 관계는 너무 평면적이지.

▽남=그 점을 좀 짚어보자. 한국인과 일본인이 동시에 출연하는데 한국인보다 일본인이 오히려 더 긍정적으로 그려졌다는 점에서 난 이 영화가 기존의 열등감 같은 걸 극복하는 면이 있다고 봐. 하지만 왜 한중, 한일 합작 영화에서는 꼭 남자가 한국인이고 그를 사랑하는 여자는 중국인 아니면 일본인일까. 여기엔 지배자가 되고자 하는 어떤 무의식이 깔려 있는 거 아닐까.

▽심=난 그게 한국남자들의 판타지라고 생각해. 더 이상 남한 여자들에게는 기대할 수 없는 지고지순의 사랑을 중국이나 일본 여자에 투영하는 거지. 그런 점에서 난 이 영화가 지극히 한국적인 정서를 토대로 만들어졌다고 봐. 과연 이런 정서로 아시아 관객을 설득해낼 수 있을까.

▽남=세계시장을 겨냥해 100억 원이 넘는 제작비를 들여 만든 작품이기 때문에 한국영화계 전체의 향후 행보를 생각해서도 이 영화가 꼭 성공해야 된다는 부담은 커. 하지만 이 영화는 이미 소니 저팬에도 사전 투자 형태로 250만 달러에 판권이 팔렸고 해외시장의 반응이 있어서 국내 관객은 300만 명 정도만 들면 적자는 면할 수 있다고 들었어. 세계를 겨냥하는 거라면 제작비 100억 원도 꼭 과다하다고만 볼 수는 없는 거 아닐까. 기획 단계에서 그런 마케팅까지 고려된다면, 나는 현재의 한류 열풍을 이어가는 본격적인 시도로서 ‘역도산’ 같은 영화가 만들어지는 건 의미 있고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한다고 봐.

정리=정은령 기자 ry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