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부터 差에는 參差(참치·들쑥날쑥하여 가지런하지 못한 모양)에서와 같이 ‘들쑥날쑥하다’나 差異에서처럼 ‘모자라다’는 뜻이 생겼다. 이것은 아마도 오른손이 긍정적 의미로 작용했던 것에 비해 고대 사회에서의 왼손에 대한 부정적 의식이 반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자 원래의 ‘꼬다’는 뜻은 手를 더하여 』(비빌 차)로 분화했다.
異는 갑골문(오른쪽 그림)에서 가면을 쓴 얼굴을 한 사람의 정면 모습에다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키고 있는 형상이다. 얼굴에 가면을 쓴 모습은 鬼(귀신 귀·가면을 쓴 사람의 모습)나 畏(두려워 할 외·가면을 쓴 사람이 창을 든 모습)에도 나타나는데, 옛날 역병이 들면 귀신을 쫓아내기 위해 얼굴에 무서운 형상의 가면을 썼던 것에서 유래한다. 커다랗게 만든 무서운 가면을 얼굴에다 썼으니, 이는 분명 다른 사람과는 달리 보였고 그 모습은 特異(특이)했을 것이다. 이로부터 異에 ‘다르다’나 ‘특별나다’는 뜻이 생겼다.
別은 지금의 모습과는 달리 갑골문에서 W와 刀(칼 도)로 이루어져, 칼로 뼈를 발라내는 모습을 그렸다. 이로부터 구분해 내다는 뜻이 생겼고, 분리라는 의미도 생겨났다.
이렇게 볼 때, 差異는 글자 그대로라면 모자라고(差) 이상하다(異)는 뜻이었으나 異에는 特異에서처럼 다른 것과 달라 훌륭하다는 뜻까지 존재함을 볼 때 꼭 부정적 의미만 담긴 것은 아니다. 하지만 差別은 모자라는(差) 존재를 전체에서 발라내 구분한다(別)는 뜻을 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差異가 수평적 개념이라면 差別은 수직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差別보다는 差異를 인정하는 사회가 중요하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하영삼 경성대 교수 ysha@ks.ac.kr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