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간 후 대간마루의 벽소령대피소(1426m). 등산객들 모두 깊이 새벽잠에 빠진 이즈음, 별과 달은 온 데 간 데 없고 강풍과 눈보라만 몰아친다. 깜깜한 취사실, 헤드랜턴 불빛에 의지해 얼음 깨어 끓인 라면 한 그릇. 지금 순간의 행복만 기억한다면 앞날 세상살이 어째도 불만이 없을 듯하다.
구름 덮인 동편 하늘이 붉게 물들기 시작한다. 칠흑 같은 어둠이 해오름에 쫓겨나는 모습과 더불어 마루 금 밟기가 시작됐다. 형제봉 오르는 길. 짙은 연하(煙霞)의 칼바람 속에서 하얀 상고대가 핀다. 상고대란 한겨울 나뭇가지에 피는 서릿발. 앙상한 나뭇가지가 새하얀 서리 옷으로 갈아입는 비밀스러운 광경을 나는 지척에서 목도하는 기막힌 호사를 누렸다.
개울물이 엄동설한에도 얼지 않고 졸졸 흐르는 연하천 산장.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이라는 주목이 대간 마루 금을 비켜 자라는 주목서식지다. 나무 앞에 설치한 철조망에 마음 상한다. 모두가 사람 탓이다.
구름은 어느새 사라지고 하늘이 파랗게 제 색깔을 보인다. 지금 오른 곳은 널찍한 평지의 토끼봉 정상이다. 아래로 드러난 해발 1500m 내외의 지리 산경이 수려하다. 지리산 2인자인 반야봉도, 멀리 세석평전과 천왕봉, 제석봉까지도 온통 하얗다.
고개란 산마루의 가장 낮은 부분. 그래서 발품 팔아 오르는 이는 고개를 찾고 그래서 이리로 길이 난다. 길은 사람을 부르고 사람은 역사를 만든다. 삼도봉(1550m) 가는 길에 지나는 헬기장 있는 널찍한 공터. 화개재(1315m)다. 오른편은 뱀사골, 왼편은 칠불사 계곡. 지리산 마루 금 가운데 가장 낮다. 뱀사골에 ‘간장소’라는 못이 있다. 하동포구로 실려 온 남해의 소금가마를 지고 이 고개 넘던 산내(전북 남원시)의 봇짐장수가 그만 미끄러져 빠지는 바람에 짠물로 변했다는 내력인 즉, 소금 길의 단면을 보여 주는 이름이다.
삼도봉 오르는 551계단. 정상에 서니 남해까지 보인다. 목전에 반야봉, 조금 멀리로 소설 ‘토지’의 무대인 하동의 악양 벌판과 섬진강, 노고단 정상(1507m)과 그 아래 노고단 고개(1400m) 및 남원 땅이 두루 보인다. 이름 그대로 세 도(경남과 전남북)가 만나는 곳인데 바위에 둔 삼각뿔의 이정표가 방향을 알린다.
삼도봉에 서면 노고단이 지척이다. 예서부터는 지리산 종주 길에 가장 편히 걸을 수 있는 길이 이어진다. 그러나 진짜 노고단은 생태보호를 위해 막아두었다. 그래서 길은 마루 금을 비켜 가짜 노고단으로 직행한다. 자동차가 오가는 백두대간의 고갯길 성삼재는 가짜 노고단에서 2.7km다.
긴 여정이건만 조금도 피로감을 느끼지 못한다. 기이한 일이다. 백두산 정기가 나를 곧추세운 덕분이리라는 설명만 가능할 듯하다.
하동=조성하 기자 summer@donga.com
▼“登山 마치고 入山했죠”지리산에 터잡은 산악인 남난희 씨▼
1981년 국내 최초 백두대간 종주(76일간), 84년 히말라야 강가푸르나봉(7455m) 여성 첫 등정, 설악산 토왕성빙폭 여성 첫 등정….
그는 지리산의 한 골짝, 하동의 황장산 아래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최근에는 ‘낮은 산이 낫다’는 책을 냈다. ‘높은 산 킬러’라고 불릴만한 그 이기에 두 가지 사실이 화제다.
지리산 종주를 마치고 남 씨를 찾았다. 화개골의 한 찻집에서 만난 그는 예나 지금이나 다름없이 수수한 모습이다.
“책 읽으셨으면 더 궁금하신 것이 없으실 텐데….” 내미는 책에 사인을 부탁하자 계면쩍어하며 하는 말. 그래도 물었다. 왜 낮은 산이 더 낫다고 생각하게 됐느냐고.
“올라야만 했던 등산(登山)의 산은 내게 다가오지 않았어요. 지금 내가 깃든 낮은 산은 나를 받아주는데 말이지요. 등산의 산 보다는 내게 다가오는 입산(入山)의 산이 좋아요.”
산이 도전의 대상이 아니라 나와 함께 소통하며 어울리는 이웃으로 생각하면서 산행도 더 편안해졌다고 그는 말했다.
지금 사는 곳은 반야봉과 삼도봉 줄기가 지리의 불무장등(不無長嶝)을 거쳐 이어지는 황장산 자락 하동군 화개면 용강리의 한 농가. 거기서 아들(11)과 함께 차 농사와 밭농사를 두루 지으며 차 만들고 된장 쑤며 소박하게 살고 있다.
“쌀만 빼고 저의 식구 먹는 것은 모두 다 키웁니다.” 자일잡고 바위 타던 억센 손으로 여린 찻잎을 따서 맑은 차를 만든다고 하니 그 맛이 어떨까 궁금하다.
“차요? 이제 좀 맛을 내지요.” 올 곡우(4월 20일)에는 그 차 한 잔 맛보기로 약조하고 눈발 날리는 화개골을 떠났다.
하동=조성하 기자 summer@donga.com
○ 여행정보
◇지리산 종주산행 ▽코스=벽소령∼형제봉∼연하천∼토끼봉∼화개재∼삼도봉∼노루목∼임걸령∼노고단∼성삼재. 총 16.8km(8시간 소요). 삼정리∼벽소령대피소(6.7km)는 2시간 소요. ▽문의=△지리산 관리사무소=055-972-7771∼2 △대피소=벽소령 016-852-1426, 연하천 063-625-1586
◇주의사항 ▽야간산행 금지=일출 일몰 두 시간 전 금지(1월 1일만 제외). ▽식수=탐방로 샘이 얼어붙고 대피소에는 물이 부족하니 산행 전 충분히 확보. 물을 구할 수 있는 샘은 연하천 산장과 임걸령 등.
◇숙박 ▽대피소=지리산국립공원 홈페이지(www.npa.or.kr/chiri)를 통해 1인당 3명까지 2∼15일 이전 예약. 이용 시 신분증 확인. 이용료는 연하천 피아골 뱀사골(이상 5000원)을 제외한 나머지는 7000원.
◇찾아가기 ▽삼정리=경부고속도로∼대전∼대전통영고속도로∼함양∼88고속도로∼지리산 나들목∼60번 지방도∼마천∼1023번 지방도∼삼정리. ▽성삼재=지리산 나들목∼60번 지방도∼산내∼861번 지방도(구례 방향)∼성삼재.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