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우선 한류 붐이 일부 연예인에 국한되고, 방송물 수출은 멜로드라마라는 특정 장르에 집중되는 등 콘텐츠의 다양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보고 있다. 한류 콘텐츠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류가 생활문화 차원으로 옮겨가는 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가 홍콩에서 일고 있는 TV 드라마 ‘대장금’의 인기. 홍콩 시청자들이 한국의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보임에 따라 홍콩의 방송사는 ‘대장금’을 방영하기 전 한국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5∼10분짜리 프로그램을 배치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런 판단에 따라 한류를 ‘브랜드화’해야 한다는 잠정 결론을 내리고 한류가 대중문화 중심에서 생활문화 중심으로 그 저변을 확대하도록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부 차원 대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일어난 ‘제1 한류’에 이어 제2, 제3의 한류를 어떻게 만들어 가느냐 하는 것. 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고 해외에 있는 한국음식점에도 한국음식 표준 식단을 만들어 제시하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한식(韓食)만 해도 문화부 문화재청 농림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등 주무부서의 이해가 복잡하게 엇갈려 있어 ‘한(韓) 브랜드’ 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전담 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부는 ‘한 브랜드 전략 추진 위원회’를 구성키로 하고 관계 부처 간 협의를 진행 중이다.
이승재 기자 sjd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