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는 17일 밤 10시 손놀림과 두뇌활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연중기획 ‘교육이 미래다-두뇌 전쟁의 비밀, 손(手)’(연출 오훈식)을 방영한다. 지난해 황우석 서울대 석좌교수는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만으로 인간 배아(胚芽)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 그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한국인을 제외하고 누가 쇠젓가락으로 콩을 집을 수 있겠는가”라며 한국인의 손재주를 자랑했다. 난자에서 핵을 집어내는 작업은 섬세한 손재주가 없으면 어려운 일이기 때문.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약 15억 명이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손이 두뇌에 미치는 영향과 손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조사했다. 제작진을 이를 밝히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생 4명에게 나무젓가락, 포크, 쇠젓가락을 사용하게 한 후 뇌파를 조사했다. 실험 결과 쇠젓가락을 사용할 때 집중력이 가장 높았고 기억력과 정서를 담당하는 측두엽이 30∼50% 이상 활성화되는 것이 포착됐다.
그림 퍼즐 맞추기 능력, 발표 능력에서 피아노 연주 등 손가락을 많이 사용한 어린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40% 정도 더 뛰어나다는 능력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도 소개한다. 젓가락을 쓰려면 손과 관련된 수십 개의 근육과 관절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포크를 사용하는 것보다 2배 이상의 자극을 대뇌에 주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젓가락을 사용하면 뇌 활동이 촉진되고 머리도 좋아진다는 것.
취재진은 또 수업 중에 바느질을 가르쳐 아이들의 집중력을 높이는 경기 과천시 공동육아조합의 ‘열리는 어린이집’과 종이접기, 공기놀이, 십자수 등으로 사고력을 높이는 서울 군자초등학교의 클럽활동, 젓가락 기능장을 뽑는 인천 주안초등학교 등 학생들의 정교한 손놀림 동작을 키우기 위해 별도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현장을 소개한다.
이 프로그램을 제작한 오훈식 PD는 “전 세계 지능지수(IQ) 테스트에서 한국이 2등을 차지했고 1∼5위까지가 젓가락을 사용하는 아시아 국가에서 배출됐다”며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이 손을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