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록학회는 5일 오전 9시 서울 세종문화회관 콘퍼런스홀에서 ‘과거청산,인권 그리고 기록’을 주제로 광복 6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1부 ‘해외의 인권문제와 기록’에서 클라우스 올덴하게 독일연방기록관 부관장은 나치와 동독이라는 두 개의 억압적
체제가 생산한 기록물의 보존과 공개 문제에 관해 발표한다. 발표문에서 주목되는 것은 독일 통일 후 옛 동독 시절 비밀
정보기관인 슈타지(국가보위부)의 문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독일사회의 논란과 해법.
독일은 2002년 슈타지 기록법에서 개인에게 파기 권한을 부여하는 조항을 삭제했으며 현재는 방대한 양의 이들 기록 중 어떤 것을 보존할지에 대한 기준을 모색 중이라고 올덴하게 부관장은 밝혔다.
이 심포지엄에서는 또 글로리아 알베르티 가르피아스 유네스코 정보기록 센터장이 아르헨티나와 칠레, 브라질, 우루과이 등 군부독재를 경험한 남미 국가들이 어떻게 인권침해 자료를 확보, 보존하고 있는지를 발표한다. 안도마사히토(安藤正人) 일본 국문학연구자료관 교수는 일본의 아시아 침략 기간 중 침략 행위를 증언하는 기록들의 보존 상황을 소개한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