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후 9시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골목. 시끄러운 차 소리를 뚫고 어디선가 ‘뿅뿅’ 소리가 들린다. 간판을 보니 ‘슈퍼 오락게임장’. 10평 남짓한 전자오락실에서 20여 명이 저마다 동그란 버튼을 두드리며 ‘오락 삼매경(三昧境)’에 빠져 있다.
“학교에서 공부하다가 밥 먹고 잠깐 이곳에 들러요. 단돈 300원에 어릴 적 즐겨 했던 ‘세이부 축구’를 하다 보면 오락에 몰두하는 20여 분간은 아무것도 생각이 안 나요.”
언론사 입사 준비를 하고 있다는 박진호(26·연세대 신문방송학과) 씨가 축구 게임인 ‘세이부 축구’를 하는 바로 옆에선 격투기 게임 ‘철권 5’가 한창이다. 좁은 오락기 앞에 몸을 맞대고 붙어 앉아 격렬하게 조이스틱을 움직이는 두 사람은 친구 사이인 백승우(21·성북구 돈암동) 씨와 남찬용(21·성북구 돈암동) 씨. 두 사람은 아이스크림 내기를 하고 있었다.
17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이 오락실에는 ‘테트리스’ ‘버블버블’ ‘스트리트 파이터2’ 등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전설의 오락을 비롯해 ‘펌프’ ‘드럼 마니아’ ‘타임 크라이시스3’ 등 최근 인기 있는 오락까지 모두 45대의 오락기가 마련되어 있다. 한때 신촌 부근에는 6곳의 오락실이 있었지만 현재 남은 곳은 한 곳뿐. 온라인 게임의 위세에 밀린 탓이다.
○ 북적북적, 사람 냄새가 나는 전자오락실
한국컴퓨터산업게임중앙회의 통계에 따르면 이른바 ‘전자오락실’로 불리는 청소년 게임장은 2004년 현재 전국 1800여 개. 2003년 2100여 개였던 것에 비하면 감소 추세지만 여전히 명성은 유지되고 있다. 한국컴퓨터산업게임중앙회 강대권 사무총장은 “PC방, 플스방(플레이스테이션방) 등 ‘게임방’ 문화가 발달해 오락실이 타격을 받았지만 여전히 뿅뿅거리는 오락을 즐기는 사람들은 남아 있다”고 말했다.
게임전문가들은 사람들이 여전히 전자오락실을 찾는 이유를 ‘몸’에서 찾는다. 정신적 유희인 게임도 사람의 원초적 본능인 육체적 움직임을 어느 정도 해소해 주어야 한다는 것.
오락실 게임에 필요한 동작들은 매우 격렬한 편이다. 조이스틱을 움직이는 힘의 세기, 버튼을 마구 누르는 강도 등 오락실 게임은 상체 전반의 힘을 요구하기 때문에 PC방 온라인 게임의 ‘마우스질’과는 몸에 실리는 힘의 강도가 다르다.
또 오락실 게임 애호가들의 경우 대부분 ‘단골가게’를 찾다 보니 오락실에서 작은 커뮤니티가 형성되기도 한다. 전자오락실에는 ‘동네 짱’이 존재하는 것.
박재석(31·회사원) 씨는 “오락실에서 어려운 게임을 한판 한판 깨 나가다 보면 한 사람씩 주위에 몰려들고 그 순간만큼은 내가 최고가 된 듯한 기분이 들어 즐겁다”고 말한다. ‘지역구 오락실 스타들’은 원정을 다니며 동네 대 동네 형태로 격투기 게임부터 DDR까지 실력을 겨루기도 한다.
‘슈퍼 오락게임장’ 주인 이용문 씨는 “지금도 옛날처럼 격투기 오락을 하다가 시비가 붙어 싸우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경쟁이 격렬하다”고 말했다.
오락실 동호회 회원들은 △키보드나 마우스에서 느낄 수 없는 격렬한 게임 조작에서 오는 운동성 △온라인 게임과 달리 땀 냄새까지 맡으며 옆사람과 대결한다는 긴장감 △오락실이란 소규모 커뮤니티 사람들에게 인정받을 때 느끼는 직접적인 우월감 등을 온라인 게임과는 다른 전자오락실만의 쾌감이라고 밝혔다.
게임 전문 커뮤니티 ‘디스이즈 게임’ 운영자 임상훈(32) 씨는 “가스보일러보다 연탄난로에 둘러앉았을 때 더 따듯하듯 옆사람의 땀 냄새나 육체적 부대낌은 온라인에서는 찾을 수 없는 전자오락실만의 문화”라고 말했다.
#풍경2 1980, 90년대 오락실
1980, 90년대 오락실 키드가 기억하는 전자오락실의 문화 코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열나게 눌러’에서 ‘몸을 이용해’로… 오락과 몸
갤러그, 엑스리온, 1943 등 비행기 위주의 아케이드 게임이 유행하던 1980년대에는 제한된 시간에 얼마나 빠르게 버튼을 누르냐가 승부의 관건이었다. 당시 손가락 두 개를 번갈아 가며 누르기, 두 손가락으로는 모자란 듯 다섯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는 일명 ‘긁기’를 비롯해 최고 수준인 30cm 자를 이용한 ‘자 튕기기’까지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 ‘스트리트 파이터’ 같은 격투기 게임이 인기를 끌자 버튼을 빠르게 누르는 것보다는 타이밍을 잡아 누르는 일명 ‘벌처럼 날아 나비처럼 누르기’가 유행했다. 조이스틱의 조작도 단순한 폭탄 피하기에서 치열한 심리 싸움으로 바뀌었다.
1990년대 말에는 ‘DDR’의 유행으로 발, 팔 등 신체 모든 부위를 이용하게 된다.○ 동전쌓기, 쑤시기, 그리고 불량배 형들…
오락실에서 항상 동전에 메말라 있던 1980년대. 한번쯤은 ‘동전 없이 오락할 수 있는 불법적 방법’에 골몰하지 않았을까. 당시 유행하던 기술은 일명 ‘쑤시기’. 철사나 빗자루에 달린 뻣뻣한 솔을 동전 투입기에 집어넣고 살살 앞뒤로 움직이다보면 동전 인식 장치를 건드리게 돼 게임이 가능했다. 단 너무 오래 눌러 한 번에 10판 이상이 기록될 경우 오락실 주인아저씨에게 목덜미를 잡힐 수 있었다.
1990년대 유행하던 기술은 10원짜리 동전을 100원으로 만들기. 10원 동전은 지름이 작기 때문에 오락기에 넣어도 소용없다. 하지만 여러 개를 겹친 후 검은색 전기 테이프로 감고 면도칼로 얇게 썰어 내 100원짜리 동전과 지름을 같게 만들어 사용하면 기계를 속일 수 있었다.
뭐니뭐니해도 가장 인상적인 추억은 오락실에 상주하던 불량배 형들이다.
직장인 박치훈(31) 씨는 “오락할 때 옆 학교 형들이 옆구리를 찌르며 ‘돈 있느냐’고 위협한 뒤 ‘돈 나오면 10원에 한 대씩 맞는다’고 말했던 것이 불량배들의 전형적인 패턴이었다”며 웃었다.
김범석 기자 bsism@donga.com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