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내일/오명철]법정 스님의 ‘버리고 떠나기’

  • 입력 2006년 1월 9일 03시 02분


코멘트
살을 에듯 추웠던 지난 며칠, 자리에 누울 때마다 법정(法頂) 스님의 얼굴이 떠올랐다. 올해 우리 나이로 일흔다섯이 되신 스님이 강원도 산골 오두막에서 시중드는 상좌(上佐) 하나 두지 않은 채 손수 밥 짓고 빨래하며 엄동설한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인연으로는 속가(俗家)의 ‘머리 기른 제자’에 불과하지만 마음만은 노부모를 걱정하는 자식 못잖게 애틋하다.

모처럼 서울에 온 스님을 만났다. 새해 독자들에게 줄 덕담(德談)을 부탁했더니 “출가자에게 한 해가 오고 감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말을 아끼면서도 “사람들은 고통스러워하지만 ‘생로병사(生老病死)’는 자연의 이치로 누구도 이를 거스를 수도 없고, 거슬러서도 안 된다”고 당부하신다. 겨울이면 지병처럼 스님을 괴롭히던 천식도 사라지고, 얼굴 또한 맑아 보였다. 스님이 평생 화두(話頭)로 삼고 있는 ‘버리고 떠나기’를 실천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법정 스님의 생애는 몇 차례의 ‘버리고 떠나기’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출가(出家)다. 외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책 읽고 사색하는 것을 좋아했던 청년은 1954년 싸락눈이 내리던 날 홀연히 집을 나서 머리를 깎았다. 평소 흠모했던 등대지기의 꿈을 접고 ‘진리의 빛’을 찾아 나선 것이다. 사랑하는 이들과 세속적 욕망을 버리는 대신 그는 진리의 세계로 들어설 수 있었다.

두 번째는 1975년 10월 1일 서울 봉은사 다래헌(茶來軒)에서 전남 순천 조계산 자락 불일암(佛日庵)으로 들어간 일이다. 글 잘 쓰고 의식 있는 40대 초반의 촉망받는 중진 스님이었던 그는 “시국 비판이나 하며 글재주만 부리다가는 중노릇 제대로 못 하겠다”는 생각이 들자 모든 것을 내던지고 산속으로 들어갔다. 한 칸 암자에서 혼자 밥 짓고 밭을 매며 17년을 지내면서 ‘무소유’, ‘산방한담(山房閑談)’, ‘텅 빈 충만’ 등 10여 권의 산문집을 펴냈다. 승속(僧俗)의 명예를 과감히 떨쳐 버린 덕분에 사색의 자유와 자연과의 교감을 얻게 된 것이다.

세 번째는 1992년 4월 19일 강원도 산골 문패도 번지수도 없는 오두막으로 다시 거처를 옮긴 일이다. 이런저런 인연으로 산중 암자에 방문객이 늘어나고 글 빚도 지게 되면서 수행에 지장을 받게 되자 더 깊은 산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지인들은 물론 몇 안 되는 상좌조차 아직 스님의 거처를 모른다. 스님이 “누군가 내 거처를 알게 되면 나는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갈 것”이라고 했기 때문이다. ‘큰스님’으로 불리며 절 집의 높은 자리에 앉는 대신 자신만의 수행 공간과 절대 고독의 희열을 얻게 된 것이다.

네 번째는 2003년 12월 21일 한 여신도가 오랜 간청 끝에 스님에게 시주한 서울 성북동 길상사의 창건 6주년 기념 법회에서 회주(會主·절의 원로 스님) 자리를 미련 없이 내놓은 일이다. 주지 한 번 맡지 않았던 스님이 떠밀리다시피 맡았던 자리였다. 하지만 차츰 틀이 잡혀 가자 “수행에는 정년이 없으나 직위에는 반드시 정년이 있어야 한다”는 평소의 소신을 주저 없이 실천한 것이다. 많은 이가 아쉬워했지만 스님은 큰 짐을 벗어던진 듯 편안한 모습이었다.

스님은 이날 법회 후 차 한 잔을 따라 주며 “때가 되면 아무도 모르는 곳에 가서 육신을 벗어버리고 싶다”고 지나치듯 말했다. 법정 스님이라면 능히 그럴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스님은 이후 봄가을 두 차례만 길상사에서 공식 법회를 열고 있다.

수행의 고비마다 버림으로써 더 큰 자유를 얻은 스님이 올해로 출가 52년을 맞는다. 우리 모두가 진정으로 버리고 떠남으로써 더 큰 것을 성취할 수 있는 복된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한다.

오명철 편집국 부국장 osca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