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런 와중에 영화계 내부에서 균열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사건의 발단은 극장과 영화제작자들 간의 수익률 분배 문제가 얽혀 들면서부터.
서울시극장협회 관계자들은 2일 이미경 국회 문화관광위원장,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 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 등 정부 여당 인사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행 스크린쿼터를 자율적으로 지키겠다”고 말했다. 겉보기에는 극장들이 영화인들의 스크린쿼터 축소 반대 투쟁에 동참하는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정작 영화인들은 “실익을 챙기기 위한 극장들의 양다리 걸치기”라고 일축하고 있다. 이 같은 불신의 배경에는 스크린쿼터 논란이 일기 바로 직전, 극장업주들과 영화인들이 벌인 수입 배분 싸움이 깔려 있다.
영화 제작·투자·배급업자들로 구성된 한국영화산업합리화추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CGV, 메가박스, 롯데시네마 등 3대 멀티플렉스 극장을 상대로 “현재 5(배급업자) 대 5(극장)인 수입 배분 비율(부율)을 외화처럼 6 대 4로 하자”고 제안했다.
현재 지방의 경우 한국 영화와 외화 모두 5 대 5로 수입을 배분하지만, 서울은 외화의 경우 6 대 4로 배급업자들이 수입을 더 많이 가져간다. 배급업자들은 “극장들도 관객이 몰리는 한국영화의 덕을 보고 있으므로 외화와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서는 한국 영화의 부율도 6 대 4로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자 서울시극장협회는 “형평성이 문제가 된다면, 외화도 5 대 5로 하겠다”고 맞받아치고 나왔다. 극장들은 “영화관의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로 스크린당 수익률이 줄어들고 있다”며 2일 정부 여당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관람료 카드 할인 문제, 스크린당 수익률 감소문제 등에 대한 개선책을 요구했다.
반면 영화산업합리화추진위원회는 3개 멀티플렉스 업체와 서울시극장협회가 수익률 배분을 담합 결정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해 양측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한 영화인은 “스크린쿼터 축소 여부에 한국 영화의 사활이 걸려 있다고 말하면서도 서로 제 밥그릇 챙기기에 급급한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허문명 기자 angelhuh@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