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춘향제에는 유한상(柳漢相) 성균관 고문, 박종달(朴鍾達) 광주향교 재단이사장, 김달수(金達洙) 울산김씨 대종회장과 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춘향제는 제물을 바치는 봉진례, 비단을 바치는 전폐례, 술잔을 바치는 초헌례와 아헌례, 종헌례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박래호(朴來鎬) 동양학연구원장은 제를 마친 뒤 서원 내 청절당에서 ‘하서 선생의 복성부(複性賦)’를 주제로 강론했다.
박 원장은 “하서 선생은 영남의 퇴계 이황(退溪 李滉) 선생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조선시대 도학에 큰 자취를 남긴 호남의 대현(大賢)”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하서 선생은 ‘복성부’라는 문집에서 ‘선(善)이 물욕에 막혔다 할지라도 본성을 찾으려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인간다운 삶을 구현할 수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며 “이는 참다운 선을 찾아보기 힘든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국가사적 제242호인 필암서원은 호남 유림이 하서 선생을 추모하기 위해 조선 선조 때 창건한 사우(祠宇)로 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도 피해를 보지 않은 유서 깊은 곳이다.
장성=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