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담긴 사기그릇 속에서
흠뻑 웃고 있다.
나는 한번도 본 적이 없다
저리 신나게 웃는 어머니를,
어금니 사이
푸른 이끼 한 줄,
나 몰래 무슨 즐거움 씹어 잡수셨을까
나는 불안하다
턱이 없는 어머니가
아침이면 턱 안에서
굳게 갇힐 웃음이,
턱을 빠져나온 웃음이 밤마다
목욕탕을 뒤흔든다
저 웃음을 어머니 턱 안에서
완성시켜드리고 싶다
― 시집 ‘자라’(창비)중에서》
믿을 수 없다. 한 치의 틈도 없이 가지런히 빛나는 저 웃음. 시리디 시린 냉수 속에서도 활짝 웃는 저 웃음, 웃을수록 오히려 섬뜩하다. 얼마나 많은 치통과 충치의 나날과 바꾼 모조 웃음인가. 하나 둘 옥수수 알 발려 먹이듯, 세월과 자식들에게 내어준 치열이었을 것이다. 믿을 수 없다. 웃어도 대문니부터 어금니까지 한꺼번에 웃는 저 웃음. 달그락거리는 틀니일지언정 부디 남 몰래 씹어 잡수실 즐거움 끊이지 않기를. 틀니쯤 벗어던지더라도 오물오물 만두피 같은 입술 새로 터져 나오는 웃음 그치지 않기를. 딱딱한 뼈의 웃음이 아니라 부드러운 살과 근육의 웃음을 되찾으시기를. 오월 불효들 올림.
―시인 반칠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