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편집권 남용 시민단체가 감시 나선다

  • 입력 2006년 6월 21일 03시 05분


‘견제 받지 않는 언론 권력’이란 비판을 받고 있는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대해 다양한 시민단체가 적절한 감시와 규제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들 시민단체는 △언론사로부터 제공받은 기사 제목의 편집 금지 △‘많이 본 기사’ 항목에 올라온 기사의 조회건수 공개 등을 요구하며 포털사이트의 ‘횡포’를 막는 법 제정을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히고 있다.

포털사이트에 대한 감시를 표방하며 4월에 설립된 보수 성향의 자유언론인협회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신촌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국회의원, 미디어평론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포털사이트의 권력남용 방지를 위한 입법 토론회’를 연다.

양영태 자유언론인협회 회장은 “포털사이트가 언론사에서 받은 기사의 제목을 임의로 변경하거나 특정 논조의 기사를 부각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실질적인 편집권을 행사하며 권력화하고 있는 사례를 모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21일에는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에게 ‘현행 신문법에 인터넷 포털사이트의 편집권 행위가 포함되지 않은 이유’를 묻는 공개 질의서를 보내고 문화부 장관이 포털사이트의 불법 언론행위를 방치했다는 이유로 김 장관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비교적 진보적 성향의 인사들로 구성된 ‘함께하는 시민행동’은 최근 시민들이 참여하는 포털사이트 감시단을 구성해 활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단체 김영홍 정보인권국장은 “대학교수, 학생, 일반인, 직장인 등으로 구성된 100명의 감시단을 구성해 다음 주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포털사이트의 가장 큰 문제점인 ‘누가, 왜, 어떤 과정을 거쳐 특정 기사를 ‘주요 기사’로 둔갑시키는지’를 밝혀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혜준 자유주의연대 정책실장은 “뉴스 편집권을 통해 포털사이트가 권력화하는 것을 막으려면 포털사이트가 뉴스 기사의 제목을 마음대로 바꾸지 못하게 하고, 제공받은 시간이나 언론사별 지면 배치에 따라 기사를 올리도록 하는 등의 근본적인 ‘편집권 남용 금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터넷 미디어 런아시아넷 변희재 대표는 “정보통신부 공무원이 최근 한 조찬 간담회에서 ‘가끔 포털사이트 측을 불러 군기를 잡기도 한다’고 공개적으로 발언한 것을 보면 포털사이트와 정권이 어떤 관계에 있을 수밖에 없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며 “포털사이트가 권력과 돈에 굴복할 수밖에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김재영 기자 jaykim@donga.com

박정훈 기자 sunshad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