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주의(唯美主義) 관점에서 ‘아름다움은 곧 재능’이다. 더구나 시대를 사로잡은 아름다움이라면 신이 내린 재능일 터. 하지만 그 아름다움이 타고난 것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부여받은 것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이 책은 100년 전 영국 빅토리아 여왕 시대 규격화된 유럽 미술계에 정면으로 도전한 젊은 화가들과 그들의 뮤즈였던 모델 제인 모리스의 삶에 대한 기록이다.》
얼핏 보기에는 제목대로 한 여자의 이야기다. 제인은 최초의 슈퍼모델, 아니 최초의 ‘슈퍼스타’였다. 1800년대 중반 산업혁명을 주도하며 세계 초강국으로 부상한 영국은 청교도적 윤리로 계율과 정숙을 강요했고, 예술에서도 왕립미술원의 지침에 따라 엄격한 공식과 편협한 미학규범이 지배하던 시기였다.
하지만 젊은 개혁자들은 그녀의 독특한 외모를 라파엘전파의 꿈을 실현시켜 줄 이상으로 보았다. 예술사 연구자인 저자는 제인을 묘사한 라파엘전파의 그림 해설을 통해 그녀의 헐렁한 스타일, 나른해 보이는 우아함, 정열적인 표정, 관습에서 벗어나는 감수성이 어떻게 대중에게 스며들었는지를 보여 준다. 잠옷처럼 몸 위로 흘러내리는 옷을 즐겨 입는 제인은 당시 코르셋에 억눌려 있던 여성들에게 새로운 여성상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페이지를 넘길수록 그녀의 재능, 즉 아름다움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라파엘전파에 의해 부여됐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저자는 영화 시나리오나 소설로 쓰였더라면 훨씬 극적이었을 세 사람의 관계를 마치 미술사 강의를 하듯 건조하게 설명한다. 이는 삼각관계를 통해 예술가의 숙명을 은유적으로 드러내려는 포석으로도 볼 수 있다.
두 남자는 제인을 놓고 평생 경쟁하지만 이 책에서 예술적 승리는 로제티가 거머쥐는 것처럼 그려진다. 평생 그리움에 사무쳤던 로제티는 제인을 자신의 예술을 지배하는 주체로 두었기 때문이다. 제인을 그린 그림 하나하나가 절절할 수밖에 없다.
결국 책을 관통하는 것은 함께할 수 없었던 여성을 예술을 통해 소유하려 했던 로제티의 불같은 사랑과 결핍을 표현한 그림들이다. 행복한 결혼에 성공한 연인을 다룬 노래는 없는 것처럼…. 원제 ‘Jane Morris’(2000년).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