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1977년 버스 토큰제 실시

  • 입력 2006년 12월 1일 03시 01분


코멘트
“오 라이∼.”

안내양이 문을 닫고 탕탕 두 번 때리면 버스는 출발했다. 손에는 가운데 구멍이 뻥 뚫린 토큰(Token)을 쥐고 있던 기억이 난다.

플라스틱 교통카드를 주로 쓰는 요즘 세대야 잘 모르겠지만 버스 토큰은 학생들이 사용했던 회수권(작은 종이로 된 버스 승차권)과 함께 시민들의 애환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물건이었다.

1977년 12월 1일은 버스 토큰제가 처음 시행된 날이다. 이 제도는 버스 안내양들에 대한 인권보호 차원에서 마련됐다.

버스회사들이 안내양들의 ‘빼돌리기’를 막는다는 명분 아래 몸수색을 하는 바람에 서로 실랑이를 벌이는 일이 잦아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안내양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요금 지불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토큰제를 도입했다.

전국에서 이 제도를 맨 먼저 도입한 서울시는 하루 승차인원을 673만 명으로 잡고 한 사람에 15개씩, 1억95만 개의 토큰을 만들었다. 토큰을 만든 곳은 풍산금속. 제작 단가는 개당 10원30전으로 10억 원이 넘는 제작비가 들었다.

당시 토큰의 소비자가격은 개당 30원. 하지만 현금승차를 하는 승객들은 10원의 가산금을 더 물어야 했다. 토큰제 촉진을 위한 벌금이었던 셈이다. 이 때문에 곳곳에서 버스 안내양과 승객 간에 요금을 놓고 옥신각신하는 해프닝이 자주 벌어졌다.

시민들이 버스요금 인상에 대비해 토큰을 ‘사재기’하는 일도 생겼다. 집에 있는 장롱 속에 수천 개를 쌓아 놓고 요금 인상 후에 사용해 교통비를 아끼는 것이다. 이를 되팔아 차액을 챙기기도 했다.

가뜩이나 유통 물량이 적은데 사재기까지 이어지다 보니 토큰 구하기가 쉽지 않은 일이 됐다. 이런 폐단을 막기 위해 나중에 정부는 황동색에서 구리색으로 토큰을 바꾸는 묘안을 짜내기도 했다.

서울시는 1999년 버스 토큰제를 완전히 폐지했고 현재는 대구 등 일부 지역에서만 통용되고 있다. 대전 광주 등에서는 지하철 토큰제를 도입했지만 이는 칩이 내장된 현대적인 것으로 예전의 구멍 뚫린 추억의 버스 토큰과는 차원이 다르다.

그나마 버스 토큰제를 실시 중인 곳도 교통카드 때문에 명맥을 유지하기 힘든 형편이다.

대구버스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하루 평균 시내버스 이용객 73만 명 가운데 지난달 버스 토큰 사용률은 3.5%에 그치고 있다니 팔리지 않고 쌓인 토큰 처리도 골칫거리일 것이다.

김상수 기자 sso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