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臨淵羨魚(임연선어)’라는 말이 있다. ‘臨’은 ‘임하다’라는 뜻이다. ‘君臨(군림)’은 ‘왕처럼 임하다’라는 말이므로, ‘거드름피우다, 건방지다’라는 이미지를 갖는 말이다. ‘光臨(광림)’은 ‘빛나게 임하다’ 혹은 ‘빛처럼 임하다’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光臨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라는 말은 상대방의 참석을 영광으로 알겠다는 말이다. ‘臨時(임시)’는 ‘그때그때에 임하다’라는 뜻이다.
‘淵’은 ‘연못’이라는 뜻이다. ‘深淵(심연)’은 ‘깊은 연못’이라는 뜻이다. ‘연못’이라는 의미로부터 ‘깊다, 고요하다’라는 뜻도 생겨났다. ‘淵源(연원)’은 ‘깊은 근원, 근본적인 근원’이라는 뜻이다.
‘羨’은 ‘부러워하다, 탐내다’라는 뜻이다. ‘羨望’은 ‘부러워하며 바라보다, 탐내며 바라보다’라는 말이다. ‘魚’는 ‘물고기’라는 말이다. ‘魚頭肉尾(어두육미)’는 ‘물고기의 머리와 짐승의 꼬리’라는 말인데, 이는 ‘물고기는 머리 부분이 맛이 있고, 짐승 고기는 꼬리 부분이 맛이 있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魚水(어수)’는 ‘물고기와 물’이라는 뜻인데, 이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떼려고 해도 뗄 수 없는 관계’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를 ‘魚水親(어수친)’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처럼 친하다’라는 뜻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臨淵羨魚’는 ‘연못에 임하여 물고기를 탐내다’라는 말이 된다. 이는 곧 ‘연못에서 물고기를 탐내어 잡고자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차라리 돌아가서 그물이나 낚시를 준비하는 것이 낫다’라는 뜻이 된다. 그러므로 부러운 일이 있으면 준비하고, 탐나는 일이 있으면 준비하고, 하고자 하는 일이 있으면 또한 곧바로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성도 서울대 교수·중문학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