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164>政貴有恒

  • 입력 2007년 2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중국의 堯(요)나라 때는 백성이 임금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고 살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요 임금은 인간의 본성에 따라 백성을 인도했기 때문에 정치가 존재하는 줄 모르고 자연스럽게 살아갔다는 말이다. 정치는 그렇게 진행돼야 한다. 이것이 아니라면 최소한 예측 가능한 정치가 이뤄져야 한다. 예측이 가능하다는 말은 정치가 일정한 원리에 의하여 행해져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政貴有恒(정귀유항)’이라는 말이 있다. ‘政’은 원래 ‘바르다, 바르게 하다’라는 뜻인데, 이로부터 ‘정치’라는 의미가 생겨났다. ‘政治(정치)’는 ‘바르게 다스리다, 바르게 처리하다’라는 말이다. ‘貴’는 ‘귀하다, 귀한 사람, 귀하게 여기다’라는 뜻이다. 편지 받는 사람의 이름에 붙여 쓰는 ‘貴下(귀하)’는 ‘귀한 사람의 아래에 놓습니다’라는 뜻이다. ‘下’는 ‘아래, 아래로 내려가다’라는 뜻이다. 편지를 받는 대상이 개인이 아니라 기관이나 단체인 경우에는 흔히 ‘貴中(귀중)’이라고 쓴다. 이 경우의 ‘貴中’은 ‘귀한 가운데에 드립니다’라는 뜻이다.

‘有’는 ‘있다’라는 뜻이다. ‘有備無患(유비무환)’은 ‘준비가 있으면 걱정할 일이 없다’라는 말이다. ‘有償增資(유상증자)’는 ‘보상이 있는 자본의 증가’라는 뜻이다. ‘償’은 ‘보상’이며, ‘增’은 ‘늘다, 증가하다’라는 뜻이다. ‘恒’은 ‘항상, 항상성’이라는 뜻이다. ‘恒心(항심)’은 ‘항상성이 있는 마음’, 즉 ‘항상 일정한 마음, 흔들리지 않는 마음’이다. ‘恒産(항산)’은 ‘항상 있는 재산’, 즉 ‘일정하게 소유하는 재산’이다. 사람은 恒産이 있어야 恒心이 생긴다는 말이 있다.

이런 의미를 정리하면 ‘政貴有恒’은 ‘정치는 항상성이 있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는 말이 된다. 다시 말하면 정책이 자주 변하고, 정치인의 생각이 자주 변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정치인의 지조가 중시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허성도 서울대 교수·중문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