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대에서 오페라 '리골레토' 역으로만 150여회 이상 무대에 섰던 바리톤 고성현(47) 씨. 오페라 종가(宗家)인 이탈리아에서 바리톤 4명의 목소리를 합친 것과 같다고 해 '콰트로 바르티니'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그는 "오페라는 발성만으로 되지 않는다. 수학문제 풀듯이 나만의 비법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양대 음대교수로 재직 중 2000년부터 6년간 안식년과 휴직을 거듭하며 이탈리아, 독일, 미국, 프랑스 등 세계무대에서 '토스카' '안드레야 셰니에' '아이다' 등 오페라에 300여회나 출연했다. 그가 3년 만에 국내 무대에 선다. 12~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서울시립오페라단의 '리골레토'에서다.
그의 장기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엄청난 성량. 야외극장에서 열린 푸치니 페스티벌에서 '토스카'를 할 때 목소리로 담장을 넘긴 장외홈런 같다고 해서 '동양에서 온 대포'라는 별명을 얻었다. 2002년 독일 함부르크 극장에서 드라마틱 테너 호세 쿠라와, 2006년 프랑스 오랑주 페스티벌에서 테너 로베르토 알라냐와 함께 출연한 무대에서도 그는 파워풀한 성량과 연기력으로 더욱 큰 기립박수를 받았다.
"이 별명을 얻기까지 정말 열심히 했어요. 심지어 꿈속에서도 카루소에게서 노래를 배우다가 몽유병 환자 취급을 받았죠. 그러나 '대포' 소리는 어차피 '한 방'입니다. 아낄수록 좋은 거죠. 박찬호가 강속구로만 살아남을 수 없듯이 말이죠."
그는 이제 16~17세의 딸 잘다를 둔 아버지 리골레토와 비슷한 나이가 됐다. 그는 "딸을 잃게 되는 아버지의 내면의 독백을 표현해내는 데 가장 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한다.
"김치, 깍두기 먹는 사람이 유럽무대에서 레나토 브루손, 레오 누치 보다 '리골레토'를 잘 하기 위해선 목소리 속에 문화(culture)가 담겨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죠. '심청'의 아버지나 '질다'의 아버지나 신앙처럼 지켜온 딸을 잃게 되는 슬픔은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02-399-1114
전승훈기자 raphy@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