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예술]김시습에서 정약용까지…‘신화가 된 천재들’

  • 입력 2007년 9월 15일 03시 00분


◇신화가 된 천재들/윤채근 지음/299쪽·1만 원·랜덤하우스

이 책은 지난해 이맘때 출간된 ‘거문고 줄 꽂아놓고’(돌베개)를 떠올리게 한다. ‘거문고…’가 우리 옛사람 12쌍의 돈독한 우정이 빚어낸 고고한 내면 풍경을 그들이 남긴 글을 통해서 그려냈다면 이 책은 신라 최치원부터 조선 정약용까지 우리 문인 17명의 작품에 새겨진 영혼의 낙관(落款)을 읽어낸다.

단국대 한문교육과 교수인 저자는 최치원의 시에서 당나라 유학을 떠나는 12세 아들에게 “10년 안에 급제 못하면 내 자식이 아니다”라는 독한 말을 남긴 아버지에 대한 콤플렉스를 찾아낸다. 반면 서포 김만중의 작품에선 유복자였던 자신과 다섯 살 터울의 형 만기 그리고 어머니 해평 윤씨 세 모자를 운명의 동아줄로 묶어 놓은 ‘자궁 가족’의 징후를 발견한다.

조선시대 고고한 저항정신의 상징 김시습과 혁명적 풍운아를 대표하는 허균에 대한 독법은 현대작가론을 뺨칠 만큼 독창적이다.

세조의 쿠데타에 맞서 출사의 길을 포기한 김시습의 인생행로는 고심에 찬 윤리적 결단의 산물이 아니라 한때의 우발적이고 조건반사적인 행동이 낳은 파문을 자신의 운명으로 감내해야 했던 사내가 택한 니체의 ‘아모르파티(운명에 대한 사랑)’적 변주다. 그래서 김시습은 “인생을 건 한판 도박에 심취했던 얄궂은 운명의 천재였으며 그 서툴게 시작한 도박이 일파만파로 파문을 일으켜 마침내 삶 자체까지 분쇄해 버린 고독한 시간의 산책자”이자 “시간과 싸운 승부사”로 포착된다.

시에 대한 절필 선언을 한 1612년을 전후로 기행을 일삼던 시인에서 마키아벨리적 정치인으로 변신한 허균이 꿈꾼 것은 정치적 혁명이 아니라 예술과 현실을 일치시키려 한 내면의 혁명이었다. 아버지와 맏형이 죽고 절친했던 시인 권필마저 필화(筆禍)로 숨진 절대 고독의 시간, 허균은 시를 살해한 뒤 서사공간으로 비월한다. 그것은 현실에 대한 정중한 은유를 견디지 못해 세계의 진정한 서사가(정치가)로 변신하려는 무모한 도박이었다. 그래서 “이 조급증의 사내는 살과 뼈의 세계를 본 자였지만 서정을 버린 대가로 생명을 바쳐야 했다”.

이처럼 우리 고전작가를 그 시대의 윤리적 세계관을 비껴서 읽어내는 저자의 독해는 현대 전위 예술가들의 작가론을 펼친 수전 손태그의 ‘우울한 열정’에 가깝다. 텍스트를 통해 그들 삶의 정수를 읽어낸다는 것은 자칫 ‘관념적 유희’라고 치부될 수 있다. 손태그는 그나마 풍성한 텍스트를 쥐고 있었지만 이 책의 저자에겐 단편적 텍스트밖에 없다.

그래서일까. 저자는 특정 장면을 통해 전체 풍경을 상상해 내도록 하는 영화적 몽타주 기법을 차용한다. 문인 17명의 삶에서 자신의 주제의식과 부응하는 극적인 장면들을 징검다리 삼아서 그들 삶을 관통한 주제의식을 포착하는 방식이다.

그런 영화적 기법이 가장 빛을 발한 부분은 아마도 황진이 편일 것이다. 이사종과 약속한 6년의 동거생활이 끝나자 “이제 시간이 됐군요”라고 단호하게 이별을 선고하는 황진이. 반면 한 달만 살고 헤어질 것이라고 큰소리를 친 소세양과 약속한 이별의 순간 단 한 편의 시로 그를 무너뜨린 황진이. 그리고 ‘동짓달 기나긴 밤 한 허리 베어내었다 임 오는 밤 굽이굽이 펼치리라’라는 황진이의 그 유명한 시조. 저자는 띄엄띄엄 이어진 이 장면들을 단 한 구절로 꿰뚫어 버린다. “남성은 시간을 계산하고 여성은 시간을 훔친다.”

시간을 정복하려다 시간의 노예가 된 남자들의 시계를 ‘달리의 그림’처럼 초현실적으로 줄였다 늘이는 것이야말로 황진이의 필살기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황진이의 이불은 시간을 가두었다 내뿜는 풀무”가 되고 “황진이의 사랑은 주름 없이 펼쳐지는 융단”이 된다는 저자의 통찰에 절로 무릎을 치게 된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