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일상을 만날 때]시인 아들을 위해 詩가 되신 어머니여…

  • 입력 2007년 12월 28일 02시 57분


‘어머니 저를 일찍 깨워 주세요. 내일은 모든 새해 중에서 가장 행복한 시간이 될 거예요.’(앨프레드 테니슨 ‘오월의 여왕’에서)

서울 종로구 종로1가 교보빌딩에 내걸린 글판에서 와 닿았던 것은 가까운 새해보다 ‘어머니’라는 말이었다. 그 단어를 소리 내어 말하는 것만으로 마음이 더워지는 말. 수많은 시인과 소설가 자식들에게 온기 있는 글감이 되어 준 사람.

나이 마흔에 낳은 막둥이 아들, 그 아들이 나이 마흔이 되도록 장가가지 않는 게 그렇게도 속상한 어머니가 있다. 어머니는 한 달에 한 번 아들의 자취방을 찾아선 밀린 빨래와 밥을 해 주고 편지를 써 놓으신다. ‘어머니가 너잠자는데 깨수업서 그양 간다 밥잘먹어라 건강이 솟애내고 힘이 잇다’ 같은 뭉클한 글을. 아들이 시인이니 어미도 시인이 돼야 한다고, 성경 구절을 필사하며 문장 연습을 해 오신 어머니다.

박형준 시인의 시 ‘바닥에 어머니가 주무신다’의 몇 구절. ‘삶이란/조금씩 무릎이 아파지는 것,/가장 가까운 사람의 무릎을/뻑뻑하게 하는 것이다/이미 저 여인은 무릎이 비어있다 (…) 어머니가 기도하는 자식은 망하지 않는다/가슴을 찢어라 그래야 네 삶이 보인다, 고/올라올 때마다 일제시대 언문체로 편지를 써놓고 가는/가난한 여인,’(시집 ‘물속까지 잎사귀가 피어있다’에서) 장가 안 가는 자식 때문에 어머니는 애가 타지만, 아들에게는 속내가 있다. 늦둥이 아들이 어렸을 적부터 어머니는 늙어 있어서 “내가 결혼하면 누군가를 고생시킬 수가 있구나” 생각하고 “누군가를 고생 안 시킬 정도가 돼야 장가갈 자격이 있다”고 마음먹어서다.

‘잠자다 깬 새벽에/아픈 어머니 생각이/절박하다//내 어릴 적/눈에 검불이 들어갔을 때/찬물로 입을 헹궈/내 눈동자를/내 혼을/가장 부드러운 살로/혀로/핥아주시던’(문태준 ‘혀’, 시집 ‘맨발’에서)

네 딸 사이의 외아들이 귀하기도 했겠으나 어머니는 엄하셨다. 아들이 제 할 일 안 하고 놀러 다니면, 작은 거짓말이라도 아들의 입에서 나오면, 어머니는 매를 드셨다. 그런 어머니가 아들이 아플 때는 가슴에 안고 노래를 부르셨다. “꽃으로 잎으로 살아라”라는 노랫말이 오래오래 아들의 귀에 남았다. 자연에 속한 작은 것들의 아름다움을 정갈하게 일러주는 문태준 씨의 시편들은 그 어머니의 자태와, 어머니가 들려준 노래와 가깝다.

세상의 딸들에게 ‘어머니’는 복합적이다. 많은 딸들은 자신을 키워 준 동성의 사람에게 사랑과 미움을 함께 느낀다. 저 사람이 내가 자라서의 모습이라는 것을 자연스레 알고, 또 그것을 부인하고 싶기도 하기 때문이다. 소설가 공지영 씨의 어머니는 음식을 맛깔스럽게, 예쁘게 만들고 집안을 깔끔하게 단장하는, 가정에 헌신적인 존재였다. 딸은 그런 어머니가 마냥 좋은 게 아니라 부담스러웠다. “우리 엄마가 가족 말고 당신을 위해 행복하게 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사춘기 즈음엔 어머니와 지독하게 싸웠던 기억이 대부분이었다.

시간이 흘러 공 씨는 딸을 둔 어머니가 됐다. 사춘기 딸이 자신과 다투는 날이 왔다. “논리적으로 따질 수도 없고, 무작정 윽박지를 수도 없고. 결국 딸 앞에서 입을 다물 수밖에 없었다. 그때 엄마 생각이 났다. 엄마도 나랑 싸우다가 언제부턴가 말씀을 안 하셨지. 그때 엄마의 가슴이 무너졌겠구나, 하고.” 어머니와 딸의 ‘복잡한 관계’는 그의 장편 ‘즐거운 나의 집’에서도 잘 묘사돼 있다.

세상의 자식들을 일찍 깨우기 위해 그보다 일찍 일어나시는 어머니. 그 어머니의 마음을 온전히 가늠할 수 있겠는가마는, 이제 조금이나마 헤아려 보려고 해요. 내일이 어머니의 새해 중 가장 행복한 시간이 될 수 있도록.

김지영기자 kimj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