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회의 구성… 오늘 시국법회 지원도
불교계가 3일 이명박 정부가 특정 종교에 편향됐다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대책회의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대한불교 조계종 종교평화위원회는 이날 서울 종로구 견지동 조계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정부 종교 편향 종식 불교연석회의’를 구성했으며 이 회의에는 20여 개 불교 단체가 참여했다고 밝혔다. 불교연석회의는 4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리는 불교계 ‘국민 주권 수호와 권력의 참회를 위한 시국법회’를 지원한다.
불교연석회의는 3일 성명을 내고 “공직자들이 직위를 이용해 자기 종교를 강요하거나 선교 행위를 하는 것은 책임을 망각하는 행동이며 국민의 화합을 저해하고 종교 간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라며 “정부가 대책을 수립 시행할 때까지 이 운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불교연석회의는 이 성명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시장 시절 ‘서울시 봉헌 사건’에 이어, 정부 출범 뒤 이른바 ‘고소영 내각’으로 불리는 종교적 코드 정치가 계속돼 ‘대한민국이 기독교 공화국인가’라는 착각까지 들게 만든다”며 “정교 분리의 원칙과 종교 중립 의무를 준수하고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어청수 경찰청장은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불교계는 현 정부의 종교 편향 사례로 △청와대가 행정 착오로 부처님 오신 날에 맞춰 전국 주요 사찰에 대통령 명의의 축전을 보내지 못한 것 △청와대 전 경호처 차장의 ‘정부 부처 복음화’ 발언 △‘전국 경찰 복음화 금식 대성회’ 포스터에 어청수 경찰청장의 사진이 실린 점 △국토해양부가 최근 만든 교통정보시스템 ‘알고가’에서 사찰 정보가 빠진 것 등을 꼽았다.
한편 ‘예비역장성불자연합회’를 비롯한 불교계 7개 보수단체는 이날 성명을 통해 “4일 시국법회는 부처님의 정법에 어긋나는 것으로 명분이 없다”며 시국법회 철회를 촉구했다.
이광표 기자 kplee@donga.com